https://m.blog.naver.com/pstormage/130173438847
엑셀 파일이 데이터를 관리하기 편리하기 때문에,
종종 엑셀 파일에서 데이터를 정리하고 DB로 덤프하려는 경우가 있다.
웹DB에서도 마찬가지의 경우가 많은데, 문제는...
엑셀 파일을 CSV 파일로 저장하고 나면, DB로 갈 때 한글이 깨진다는 것이다.
이유는 캐릭터셋 때문인데....
요즘은 표준화가 많이 진행되어서 대부분의 DB가 UTF-8 캐릭터 셋을 쓰고 있다.
그런데 엑셀 파일을 CSV 파일로 저장하면 기본 캐릭터 셋을 사용하는데, 이게 utf-8 이 아니다.
csv 파일은 평범한 텍스트 파일이기 때문에,
이걸 메모장에서 열어서 유니코드 형식으로 저장해도 되긴 하지만,
이 경우에는 불행하게도 몇몇 글자는 여전히 깨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래서 해당 내용을 구글링 하던 도중, 숨겨진 엑셀의 옵션을 알게 되었다.
바로, 저장 시 인코딩 지정 옵션..!!!
우선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러 다이얼로그를 띄운다.
그리고 우측 하단의 '도구'를 누른다.
도구를 누르면, 4가지 드롭다운 메뉴가 뜨는데,
그중에 [웹 옵션...] 을 누르자.
그러면 아래같은 다이얼로그 박스가 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