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매일 오전/오후 총 2번 진행하여 작성해주세요!
</aside>
<aside> 1️⃣ 오전 스크럼은 아래의 내용을 반드시 포함합니다.
일간 목표
주간 목표
<12월 17일 커리어 스터디>
2일차 :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자"
링크 :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참조 : 제조공정 - 전기강판 - 제품별 - POSCO PRODUCTS / BKCST_2016.pdf
관심 산업군 :
철강 산업
˙ 제품 공정 과정 - 고로 방식, 전기로 방식
상공정 : 고로나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반제품인 슬래브, 빌렛 등을 제작
하공정 : 중간재를 압연 등의 가공을 통해 최종 철강 제품으로 생산
참고
˙ 공정별 주요 작업 내용
˙ 방식별 주요 생산 제품
고로 방식 - 열연강판(냉연강판, 강관 등), 후판, 선재 등
전기로 방식 - 철근, 봉강, 형강, 특수강(스테인레스 강판) 등
˙ 생산 제품 특징
1. 열연강판
자동차, 건설, 조선 등(우수한 강도)
2. 냉연강판
자동차, 가전제품 등(표면이 매끄러워 주로 자동차 외관에 사용)
3. 후판
조선, 교량, 압력용기 등(선박에 가장 많이 사용)
4. 강관
배관류(수도관, 가스관 등에 사용)
5. 컬러강판
건축 내·외장재, 가전용 등
6. 스테인레스강판
가전제품, 전자제품 등
**7. 봉강**
기계, 건설 등(주로 밸브 플랜지 등 산업용 부품에 사용)
**8. 형강**
공장건물, 교량, 암벽의 기초공사, 지하철, 철골공사 등
9. 특수 강판(전기 강판)
변압기,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등
- 제조 공정
1. 예비소둔 : 스케일 브레이커 및 염산탱크를 통해 열연소재 표면에 형성된 녹(Scale)을 제거한 후 열처리를 통하여 냉간 압연성을 개선하고, 자기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공정
2. 냉간압연 : 용도에 맞는 두께와 재질 확보를 위해 통상 40%~90%의 압하율로 진행되며, 균일한 두께 및 형상 확보를 위해 자동 두께 제어기, 자동 형상 제어기 등의 첨단기기를 이용
3. 소둔(열처리) : 열처리를 통해 냉간압연 조직을 재결정 조직으로 바꾸는 공정
방향성 전기강판은 소재 내 탄소를 제거하고 MgO 코팅을 실시하는 탈탄소둔과 압연방향으로 자기특성이 우수한 2차 재결정 조직을 형성시키는 고온 소둔이 있습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재결정과 절연 코팅을 실시합니다.
4. 절연코팅 : 철심 제조시 가공성 개선 및 와전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속 코터(Coater)를 이용하여 강판 상하면에 절연 코팅액을 도포하는 공정입니다. 방향성 전기강판은 암갈색의 Forsterite(Mg2SiO4)를 주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코팅과 인산염 베이스의 투명한 절연코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방향성 전기강판은 용도 및 요구 특성에 따라 코팅 두께, 성분 등이 달라집니다.
상대적 저점도 용액을 슬롯 코터, 바코터, 혹은 그라뷰어 코터와 같은 코팅 장비를 사용하여 적절한 마이크로 규모의 유동을 발생하여, 최종적으로는 큰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지는 필름 형태로 도포 할 수 있으며, 이를 도포 공정(applicationprocess) 혹은 협의의 코팅 공정(coating process)이라고 불린다.
*관심 산업군 :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