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 expression vs statement 번역
{} + 1 // 1
{2} + 2 // 2
{2+2} + 3 // 3
{2+2} - 3 // -3
const foo = () => {
value = 14;
}
console.log(foo()); //undefined
undefined
)이 리턴되기 떄문에 표현식
이라고 할 수 있다.상태
를 바꿀수 있는 문장을 포함한다.
const foo = () => { return 14; }
표현식
도, 문장
도 아니게 함수를 만들지 말고 위 처럼 코드를 변형해서 사용하는것이 좀 더 명확한(표현식으로써의 함수
) 코드 작성법이다.foo( if() { return 2; } ); //error
문장
을 넣게되면 에러가 발생한다. 이곳엔 표현식
이 들어가야한다.if (true) {9+9} //18
statement
인데 마치 자기가 expression
인것마냥 값을 리턴하고 있다. 이상하다.문장
이기 때문에 값이 들어가야할곳(매개변수
,변수의 값할당
)에 들어갈수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