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경

요즘 시대에는 HTTPS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적용하는 것이 좋았겠지만 몰랐던 전 너무 늦게 적용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발등에 불 떨어진 HTTPS 적용기 도메인편입니다.

과정

도메인이란?

인터넷이 통신을 하기 위해선 IP 주소가 필요합니다. 각자의 고유한 IP 주소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것이죠.

근데 이 인터넷 주소가 굉장히 보기 불편합니다. 220.95.233.172(naver주소입니다.) 이런 식의 숫자로 이루어지니까 말이죠.

만약 네이버라는 사이트를 220.95.233.172 이렇게 입력해서 접근을 한다고 하면 좋을까요? 적어도 전 못 외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ip에 사람들이 보기 좋게 이름을 부여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도메인입니다.

220.95.233.172 이 주소를 naver.com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죠.

쉽게 말해서 지도의 위도와 경도를 통한 위치 표현을 보기 쉽게 주소를 통해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도메인 구매

저는 도메인 구매를 위해서 가비아를 선택했습니다. 1년 동안 쓰는 것은 이벤트를 통해 싸게 구입할 수 있네요

우선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저는 프로젝트 이름인 musicspot을 선택했습니다.

Untitled

도메인을 입력하면 여러 리스트가 나옵니다. 물론 접근성을 위해서는 .com 이라든지 앱이라면 .app이 더 좋겠지만 돈이 없는 학생은 가장 싼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전 musicspot.site를 선택했습니다.(차마 shop은 선택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