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DA

활주로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시각참조물이 보이지 않을 경우 실패접근을 시도해야할 정밀접근시의 어느 특정 높이 또는 고도

→ 필요한 시각 참조물 : 조종사가 자기가 원하는 비행로를 비행하기 위해 육안으로 충분히 볼

수 있는 시각 보조물 또는 접근구역의 부분

⓵ DH (Decision Height, 결심높이) : Threshold 표고를 기준 (ft)

⓶ DA (Decision Altitude, 결심고도) : 해발고도 (MSL)를 기준 (ft)

MDA (Minimum Descent Altitude, 최저강하고도)

⓵ ICAO

시각참조물 없이 선회접근이나 비정밀 접근에서 그 이하로 강하해서는 안 되는 고도/높이 (MDA/MDH)

⓶ FAA

어떤 전자적 GS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표준계기접근절차로 선회접근을 하거나 최종접근 구간에서 인가된 강하할 수 있는 MSL상 ft로 표기된 최저고도 (MDA)

VDP (Visual Descent Point)

⓵ MDA로부터 정상 강하각으로 강하를 시작할 수 있는 비정밀 직진입 최종 경로상의 한 점

⓶ 비정밀 직진입 접근 절차의 최종 접근 방위선상의 한 점으로서, 활주로 시각 참조물을 참조하여 MAP로부터 활주로 접지지점까지 강하하는 위치

⓷ 조종사는 VDP 도달전 MDA이하로 강하해선 안 됨

Airport Elevation/Field Elevation (공항표고)

공항 사용 활주로의 평균해면고도로부터 ft 단위로 측정한 가장 높은 지점

→ 기준은 ARP임

TDZE (Touch Down Zone Elevation)

착륙표면 (접지구역)의 첫 3000‘ 내에서 가장 높은 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