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을 하는 것을 옆에서 지켜볼 때면, 가장 많이 받는 요구 중에 하나가 바로 “이 정도면 충분한지” 입니다.
“리이오 이정도로 코드를 짜면 괜찮을까요?”, “이정도면 완성이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 그리고 저 역시도 이러한 질문에는 항상 비슷한 대답을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 부분은 고민을 정말 많이 한 흔적이 보여서 좋아요.”, “여기는 좀 더 고민하면 좋아지겠는데요?” 그리고 그들은 저의 대답에서 둘 중의 하나의 경험을 합니다. 바로 “합격” 아니면 “불합격” 입니다.
사실 합격과 불합격은 시험이나 평가 뒤에 따라오는 행위입니다. 배우는 사람은 스스로를 평가할 필요는 있지만, 남에게 평가받아야만 배움이 남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다르게 질문하고 다른 질문을 요구하려고합니다.
“이 정도 코드를 짜면서 무엇을 배웠어요?”
“다음에 또 이걸 한다면 다르게 해 볼 수 있는 부분은 어떤게 있어 보여요?”
“본인이 느끼기에 최선을 다했나요?”
사실 위의 질문들은 회고의 질문들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회고에서도 한 프로젝트의 평가를 하지 않도록 가이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결국 배움의 과정에서 평가를 하지 않고 개선을 생각하게 함으로 그들은 그들의 배움에 실험을 계획할 수 있고, 그 실험에서 자신이 무엇을 배웠는지를 인지하고 무엇을 배우지 못했는지도 인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