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ive

화요조

서수인 https://github.com/tndls9304/nlp_torch_study 이종현 https://github.com/jonghyunlee1993/PapersWithCode_NLP 이규민 https://github.com/GyuminJack/torchstudy 이태호 https://github.com/adldotori/PapersWithCode 최진욱 https://github.com/Jinwook-Choi127/torchstudy

수요조

조영선 https://github.com/wsr692/torchstudy 강민수 https://github.com/karlie38/torchstudy 남정연 https://github.com/long8v/torch_study 류지은 https://github.com/soohyunee/torch_study 유용현 https://github.com/YonghyunRyu/NLPwithPyTorch/

c.f. 아직 설문조사 덜 된 3명 정도 추가될 수 있음 > 완료 c.f.2. 다음달은 세 개 조가 될수도 있고 멤버도 바뀔 수 있음 c.f.3. 현재 조 선정 방식 : 불가 날짜, 선호 날짜, 스터디 희망 사항 등.. c.f.4. 조란? 미팅을 10명이서 할 수는 없으니 나눈 것이지 그 외의 것들은 공유합니다 마이크 없이 다른 조의 미팅에 들어가도 좋아요 slack, notion, github을 통해 조 상관없이 자유롭게 대화 나누어요 !

마음가짐

  1. 공부는 스스로 해요! 서로의 코드를 보면서 배워요! 자유롭게 토론해요!
  2. documentation을 철저하게 해요 ! 논문 관련은 paper review 밑 문서에 작성합니다
  3. 참여율이 저조하여 스터디원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스터디원은 다음 달에 kick off (...) 될 수도 있습니다

진행 일정

  1. PAPER REVIEW : 논문을 읽고 토론을 통해 좀 더 정확하게 압니다. 구현을 염두에 두고 읽어봅니다.
  2. REFERENCE CODE READING : 밀접하게 관련 있는 코드를 한줄 한줄 실행해보면서 주요 모듈을 익혀봅니다
  3. PAPER IMPLEMENTATION : 논문을 그대로 재현해봅시다 SLACK을 통해 서로서로 도와줍시다
  4. LESSONS LEARNED & SURVEY : 배운 점을 공유합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 스터디는 어떻게 할지 수정해나갑시다

일단 지금부터 해야할 일

github 계정

torch study 등 이름의 레파지토리 생성 슬랙에 github아이디/레파지토리 공유해주세요

1주차 paper reading

https://arxiv.org/abs/1408.5882 1주차 논문 읽기 시작 paper review 밑에 자신의 이름으로 문서를 만든 뒤

  1. PPT 한 장 분량으로 자유롭게 논문 정리 뒤 이미지로 첨부
  2. 이해가 안 가는 부분, 이해가 안 가는 이유
  3. 재밌었던 부분
  4. 한계로 느껴지는 부분
  5. 논문 구현 시 주의해야할 것 같은 부분
  6. 같이 얘기해봤으면 하는 부분
  7. (페이퍼 리뷰 후에) 느낀점. 새로 알게 된 점

양식으로 정리합니다.(기타 추가 가능)

2주차 reference code 읽어오고 돌려오기

github ) https://github.com/bentrevett/pytorch-sentiment-analysis/blob/master/4 - Convolutional Sentiment Analysis.ipynb data ) http://www.cs.cornell.edu/people/pabo/movie-review-data/ 링크에서 polarity dataset v2.0 다운로드 할 것 )

  1. 사용할 데이터셋으로 바꿔서 코드 돌리고 주석 달기
  2. 1주차 paper review 구현 시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나온 것들 어떤 코드로 구현해야 하는지 구글링해서 주석으로 달아오기

포맷 ) 주피터 노트북! (일부 포맷을 py파일로 바꿔도 상관없으나 추후에 패키지화할 예정) 1주차 paper review 구현 시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나온 것들 어떤 코드로 구현해야 하는지 구글링해서 주석으로 달아오기

3주차 논문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