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매난 당근처럼 생긴 이 아이가 인삼이래요!
화분에, 그것도 실내에서 뭘 얼마나 키울 수 있냐고요?
도시 농부를 위한 씨앗 큐레이션 잡지 <계간 씨발아>의 최지윤 편집장님은 집에서 인삼을(!) 기르고 있대요. 이 외에도 딸기와 케일, 선인장 등 30여종의 식물을 기르고 있고, 조만간 지인에게 얻은 마(네, 마즙을 만들 때 쓰는 그 마)를 심을 계획이라네요. 잡지에 게재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 농부들을 만나봤는데, 해방촌에는 방 안에서 연꽃을(!!) 기르는 분도 있었다는 군요.
“연꽃은 연못이 있어야 하는 거 아니에요? 대체 어떻게 연꽃을 키우시는 거에요?”
에디터가 물었더니 빨간 고무 대야에 키우고 계시대요. 그분을 만나고 나서 또 한번 실내 경작에 불가능은 없다는 걸 알게 됐다는 최 편집장님. 하지만 그건 선택받은 일부 금손들만 가능한거잖아요! 전 식물 똥손이라고요! 에디터의 반발에 편집장님은 이렇게 말씀해 주셨어요.
“여러분은 똥손이 아니에요.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아서 모를 뿐이에요.”
눈물이 날 것 같은 편집장님의 위로였어요.
최지윤 편집장님의 창가 텃밭
“저는 사람들이 식물 저승사자다, 똥손이다. 하는게 너무 안타까워요. 아무도 안알려줘서 그런건데 본인 탓을 하시니까…누군가 살짝만 알려주면,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누구라도 어디에서든 싹을 틔울 수 있어요. 반지하에서도 말이에요. 실제로 서울시에서는 버려진 반지하 공간을 버섯 농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은 적이 있어요. 내 방 안에 한 뼘만한 햇빛만 들어온다면, 창문이 하나라도 있다면 식물을 키울 수 있어요."
"물론 그 환경에 잘 맞는 식물을 고르는게 중요하죠. 집이 어두운데 햇빛이 많이 필요한 활엽수를 들여 놓으면 실패할 수 밖에 없어요. 또 식물을 기를 때 간과하는게 통풍이에요. 햇빛과 물의 중요성은 아는데 통풍은 잘 신경을 안쓰더라고요. 식물은 무조건 창문 옆에 두세요. 문을 닫아두더라도 창문 옆이라면 미세하게나마 공기가 통하거든요. 물론 빛도 잘 들고요. 실내에서 식물을 기르는 장점도 있어요. 따뜻하잖아요. 가을이나 겨울에도 씨앗을 뿌릴 수 있죠." 편집장님께 초보자도 쉽게 발아를 시킬 수 있는 상추 발아 방법을 상세히 여쭤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