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시 메모리 : CPU의 처리 속도와 메모리의 속도 차이로 인한 병목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버퍼(완충) 메모리.
- 주기억장치 내에서 자주 읽고 쓰는 데이터의 일부를 캐시 메모리에 두고 불러오도록 하여 속도 차이를 줄이는 것
-
캐시 적중률(hit rate) = $\frac{캐시 메모리 적중 횟수}{전체 메모리 참조 횟수}$
- Cache Hit : CPU가 엑세스하려는 데이터가 이미 캐시에 있는 상태
- Cche Miss : CPU가 엑세스하려는 데이터가 캐시에 없어 주기억장치로부터 가져와야 하는 상태
-
캐시 지역성 : 캐시메모리는 적중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데이터 지역성(Locality)을 사용한다. 지역성이란 기억 장치 내 정보들을 균일하게 엑세스 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을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특성이다.
-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 : CPU가 한 번 참조한 데이터는 다시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
-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 CPU가 참조한 데이터와 인접한 데이터 역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
- 순차적 지역성(sequential locality) : 분기가 발생하지 않는 한 명령어는 메모리에 저장된 순서대로 인출/실행됨 (기억장치에 저장된 순서대로 이용될 가능성이 높음)
-
(캐시 위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