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키워드
밑줄 친 부분
<aside>
🏷️ 06장. 데이터 타입
</aside>
-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p59)
- 데이터 타입은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나뉜다. (p59)
- ECMAScript 사양에 따르면 숫자 타입의 값은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른다. 이는 정수로 표시된다 해도 사실은 실수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수로 표시되는 수끼리 나누더라도 실수가 나올 수 있다. (p60)
- Infinity, -Infinity, NaN 도 숫자형에 속한다. (p60)
- 다른 타입의 값과 달리 문자열을 따옴표로 감싸는 이유는 키워드나 식별자 같은 토큰과 구분하기 위해서이다. 문자열을 따옴표로 감싸지 않으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키워드나 식별자 같은 토큰으로 인식한다. (p62)
- 템플릿 리터럴은 멀티라인 문자열, 표현식 삽입, 태그드 템플릿 등 편리한 문자열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리터럴은 런타임에 일반 문자열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p62)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하고, 그 외의 경우 덧셈 연산자로 동작한다. (p64)
- 표현식(
${}
)을 사용하면 표현식의 평가 결과가 문자열이 아니더라도 문자열로 타입이 강제로 변환되어 삽입된다. (p65)
undefined
는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값이 아니라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변수를 초기화 할 때 사용하는 값이다. 따라서 변수를 참조했을 때 undefined가 반환된다면 참조한 변수가 선언 이후 값이 할당된 적이 없는,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라는 것을 간파할 수 있다.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명시하고 싶을 때는 undefined가 아닌 null을 할당한다. (p66)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데이터 타입, 값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p69)
<aside>
🏷️ 07장. 연산
</aside>
-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이때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p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