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아이들나라CTO에서 Frontend 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문구화입니다.저는 인턴십을 통해 아이들나라에 입사하게 되었고, 입사한지 약 4개월 된 신입 개발자입니다.저에게는 인턴도 회사 생활도 모두 아이들나라에서 처음 경험하는 것들이었는데요. 오늘 이 글을 통해 짧지만 길었던 4개월 동안의 경험에 대해 함께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인턴십

인턴십은 한 달 간 진행되었고, OTT 사이트의 부분적인 기능 구현이 과제로 주어졌습니다. 기술 스택으로는 Typescript React Next.js Sass styled-components 등의 사용이 권장되었습니다.모든 것이 처음인 신입 개발자인지라 새롭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많았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기술 스택들, 처음 사용해보는 협업 툴, 그리고 본격적인 코드 리뷰 문화까지…다행히 인턴십 동료분들과 아이들나라 CTO 분들께서 도와주셔서 재밌게 적응할 수 있었습니다.

인턴십 회고 발췌. 감사한 경험이었습니다

인턴십 회고 발췌. 감사한 경험이었습니다


첫 회사 생활

저는 기술적인 이야기보다는 입사 4개월 차인 이 시점에 신입 개발자로서 느낀 점들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코딩만 한다고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개발자로서 성장하려면 경험, 그리고 이론적인 공부가 적절히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지만 저에게는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꽤 어려웠습니다.

저는 입사 전에는 주로 경험을 통해서 성장 했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 것도 모르는 상황에서는 (제 경우) 일단 해보면서 배워야 가장 빠르게 성장했기 때문에, 이론적인 공부는 점점 미루게 되었던 것입니다.그러다 보니 초반에는 가파르던 성장 곡선의 기울기가 0에 가까워지는 시점을 금세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이 시점에 늦게 나마 이론적인 공부의 부족함에 대해 고민을 하기 시작했던 것 같습니다.

입사 후 가장 좋았던 점 중 하나는 바로 이러한 이론적인 공부를 함께 할 수 있는 동료들이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혼자라면 중간에 포기했을지도 모르는 책들을 함께 스터디하고, 개발 아티클을 공유하며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누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요약하자면 개발자로서 성장하려면 코딩(경험)에만 혹은 이론 공부에만 매몰되는 것 보다는 두 가지를 적절히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함께할 동료가 있으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문서화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