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face LngLat { lng: number; lat: number;}; // 기본 형태(반환 타입)
type LngLatLike = LngLat | { lon: number; lat: number; } | [number, number]; // 느슨한 형태(매개변수 타입)

[재희] LngLat가 어떤 요약어인지 아시는 분 있나요?

[동호] (줌 채팅) 위도(Latitiude)랑 경도(Longitude) 입니다.

[재희] 위 문장의 예시가 딱 떠오르지 않는다. 명확히 설명해 주실 분 있나요?

[지윤] 프로미스는 그 자체로 null 값을 반환하지 않기 때문에, 만약 반환 타입 전체가 null인 경우에는 직접 객체를 사용하거나 유니온을 사용하자. (출처 gpt)

[재희] 널인 경우가 필요한 속성인데, 프로미스면 널 값을 반환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처리가 들어간다는 내용이죠?

[지윤] 그런 것 같아요.

더 조사해 보자 ~

[효리] 책(199쪽)에서 ‘비유를 들자면 스타벅스가 아니라 커피’ 라는 문장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지윤] 저도 이 문장이 이해가 잘 안됐어요.

[태호] 커피와 스타벅스 위치가 바뀌어야 맞는 말 아닌가요?

[효리 & 지윤 & 진욱]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효리] 브랜드면 스타벅스여야 하는 거 아닌가요?

[지윤] 오역인가요?

[재희] 상표가 스타벅스.. 왜 저 문장을 괄호로 넣어놨을까요?

[지윤] 근데, 밑에 ‘객체와 클래스의 관계를 생각하면 됩니다. 스타벅스는 현실에 존재하는 구체적 개념이고 커피는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라고 써 있네요.

[재희] 브랜드가 저희가 붙여준 브랜드. 2D라는 브랜드가 스타벅스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