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1이라는 필명은 무슨 의미인지 궁금해요.

논문에 넣는 시각 자료(그림)를 Figure라고 부르고 보통 ‘Fig.숫자’의 형태로 표기해요. 첫 번째 자료를 Fig.1이라고 적는 방식인데 여기서 따왔어요. 우리 주변에 있는 전자 제품이나 기술들의 처음과 그 역사를 글로 쓰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만들면서 개인적으로 물건을 살 때도 영향을 받는데요, 예를 들어 지금 입고 있는 맨투맨 티셔츠도 세계에서 가장 먼저 맨투맨을 만든 브랜드의 옷이에요.

제품과 기술의 역사를 글로 쓰게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요?

2019년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진행한 공모전에 참여한 적이 있어요. 과거의 연필을 재현해 제품화하고, 연필의 역사를 설명한 엽서를 같이 만들어 판매한다는 아이디어로 대상을 탔죠. 공모전을 함께 준비했던 디자이너 친구와 프로젝트를 계속 하기로 했지만 그 이후에 흐지부지 됐어요. 혼자 글이라도 모아두자는 마음에 다시 시작했는데 왠지 계속 미루게 되더라고요. 아무래도 강제성이 좀 있어야 하겠다 싶어 작년 봄, 뉴스레터를 시작했어요. 개인적으로 사소한 것들의 역사를 아는 건 관심사를 늘리는 소확행의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맨투맨 하나도 전혀 다르게 보이니까요.

원래부터 글을 잘 쓰셨나 봐요.

지금 스타트업에서 에디터로 일을 하고 있긴 하지만, 글쓰기를 즐긴다기 보다 어려워 하지 않는다고 표현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거부감이 없는 거죠. 지금 회사도 기획자로 입사했다가 에디터로 직무가 바뀐 거에요. 대학에서 생명공학을 전공하면서 철학을 이중전공했는데, 그때 글 읽는 연습을 한 것 같아요. 대학원에서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면서 실제로 글 쓰는 일이 많아졌고요.

생명공학에서 미디어 아트는 왠지 연결이 잘 안 되는데요?

예전에 록 페스티벌을 갔다가 케미컬 브라더스라는 영국 밴드를 봤어요. 세계적으로 이 밴드는 무대 장치가 화려한 걸로 진짜 유명하거든요. 무대 뒤의 영상 같은 거요. 직접 두 눈으로 보고 압도당해 ‘나도 저런 거 한번 해보고 싶다’ 생각하게 됐죠. 그때부터 스크린에 들어가는 영상을 믹싱해 비주얼 퍼포먼스를 연출하는 브이제잉(VJing)을 배우기 시작했고, 자연스럽게 미디어 아트에 관심이 커지게 됐어요.

그런데 지금은 에디터 일을 하면서 연재를 하고 계시다니 신기하네요.

대학원에서 조교였던 터라 논문을 많이 써야 했어요. 당시에 라이트 아트(Light art), 그러니까 빛을 활용해 작품을 만들었는데, 역사적으로 빛이 예술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됐는지, 현재 트렌드는 무엇인지, 내 작품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등을 글로 써낼 일이 많았죠. 백열 전구로 층수를 나타내는 과거의 엘리베이터를 재현한 졸업 작품을 발표하기도 했어요. 어떤 기술이든 잊혀지고 사라진다는 메시지를 주고 싶었거든요. 지금은 콘텐츠 주제를 전자제품과 기술로 한정하고 있어요. 언젠가 다시 전공을 살려 작품 활동을 할 때 충분히 접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요. 물론, 지금은 에디터의 삶으로 거의 무게가 기울어져 있지만요. (웃음)

에디터로서 어려운 점은 없으신가요?

새로운 정보를 계속 좇고 가공하는 과정을 좋아해 일 자체는 재미있게 하고 있어요. 다만, 업무를 하면서 어려운 점이 있다면 에디터라는 직무가 중요하지 않게 느껴질 때가 있다는 거에요. 회사 내 우선순위에서 항상 밀려나는 것 같은 기분이 들거든요. 그래서 사이드 프로젝트 성격의 파이퍼나 뉴스레터가 좋은 것 같아요. 퍼스널 브랜딩이라는 말 자체가 퇴색된 지 오래라 쓰긴 싫지만, 뭔가 나로서 인정받는 느낌이 확실히 있으니까요.

일터에서의 갈증을 다시 글쓰기로 해소하는 셈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