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17버전을 사용하셨는데 그 이유와 해당 버전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 JwtAuthorizationFilter 에서 인증에 성공할 경우 doFilter() 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요청 경로에 따라 Redirect 하는 구조가 있는데 왜 이런 방식을 선택했는지 궁금합니다.
- Redis를 같은 EC2 안에 구성하셨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Redis 에 RefreshToken 을 저장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 아키텍쳐를 보니 NOSQL을 사용하셨습니다. NoSQL을 사용해서 얻은 이점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 SQL Mapper와 ORM은 각각 무엇이고 각각의 장, 단점과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 현재의 아키텍처에서 문제점은 무엇이고 개선 방향은 어떻게 될까요?
- Database에서 트랜잭션이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 findById, findAll 은 기본적으로 JpaRepository 에서 제공해주는걸로 아는데 직접 Override 를 통해 구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레플리케이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STOMP의 메세징 처리는 어떤 기술을 사용하고 있나요? 또한 적용된 기술에서의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은 어떤것이 있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현재의 아키텍처에서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ApplicationEventPublisher 기반 Event를 구현하셨는데 해당 기능을 구현하신 이유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또한 1-1) 해당 기능 구현에서 어떠한 점을 주의해야하는지 설명해주세요.
keyword: Transaction, 비동기 처리, 예외처리, 테스트 등…
NginX는 현재 프로젝트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있나요?
로드밸런서와 Nginx를 둘 다 사용하셨는데 두개의 차이점은 무엇이고 각각의 단계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테스트 코드 중 비지니스 레이어 기반으로 단위 테스트만 진행 하셨네요? 그 이유에 대해 들을 수 있을까요? 또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에 대한 설명과 필요성에 대해 말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