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요즘 MLOps 관련하여 필요한 전공 공부에 정신이 없습니다ㅜ (미천한 실력이지만..)
그 중에서, 모델 배포 및 클라우드 리소스 접근과 관련하여 필요한 요소가 네트워크 지식인 것 같아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 주제는 브라우저에 google.com을 입력할 때 어떠한 일이 벌어지는 지 설명하는 것입니다.
여러 레퍼런스를 참고하면서, 생각보다 많은 개념이 녹아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브라우저를 사용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1순위는 특정 도메인 사이트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크롬 브라우저에서 네이버에 있는 웹툰을 보기위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행동을 취하게 되죠.
www.naver.com
’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다.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여러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하여 브라우저를 통해 구글 사이트에 접근하고, 이 정보를 어딘가로부터 받아야합니다.
이때, 어딘가는 구글 웹서버를 의미합니다. 구글 웹서버는 클라이언트
의 요청을 받아 브라우저
에 HTML 파일을 전송하게 되고, 브라우저는 전송 받은 HTML 파일을 바탕으로 화면을 구성하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브라우저를 통해 구글 사이트의 화면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렌더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