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키워드

밑줄 친 부분

08장 제어문

<aside> 💡 if … else 문은 논리적 참, 거짓으로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한다 switch문은 논리적 참, 거짓보다는 다양한 상황(case)에 따라 실행할 코드 블록을 결정할 때 사용한다. p.97

</aside>

<aside> 💡 switch 문의 표현식의 평가 결과와 일치하는 case 문으로 실행 흐름이 이동하여 실행한 후 switch 문을 탈출하지 않고 switch 문이 끝날 때까지 이후의 모든 case문과 default 문을 실행하는 것을 폴스루라 한다. p.98

</aside>

<aside> 💡 폴스루를 활용해 여러 개의 case 문을 하나의 조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p.99

</aside>

<aside> 💡 for 문의 변수 선언문, 조건식, 증감식은 모두 옵션이므로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단, 어떤 식도 선언하지 않으면 무한루프가 된다. p.53

</aside>

<aside> 💡 for 문은 반복 횟수가 명확할 때 주로 사용하고 while 문은 반복 횟수가 불명확할 때 주로 사용한다. p.103

</aside>

19장 프로토타입

<aside> 💡 for … in 문은 객체의 프로퍼티 개수만큼 순회하며 for … in 문의 변수 선언문에서 선언한 변수에 프로퍼티 키를 할당한다. … in 연산자처럼 순회 대상 객체의 프로퍼티뿐만 아니라 상속받은 프로토타입의 프로퍼티까지 열거한다. p. 308

</aside>

<aside> 💡 for … in 문은 객체의 프로토타입 체인 상에 존재하는 모든 프로토타입의 프로퍼티 중에서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Enumerable]](프로퍼티의 열거 가능 여부)의 값이 true인 프로퍼티를 순회하며 열거한다. p. 309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