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작년 8월 나름 치열했던 인턴십을 걸쳐서 9월부터 신입개발자로서, 무시무시한 개발자 세계에 발을 들인 임형준이라고 합니다! 해당 글에는 인턴십 이전의 개인적인 이야기, 아이들나라의 인턴십 과정, 인턴십 이후 현재까지의 성장, 개발문화로 총 4파트로 나눠서 글을 작성했습니다. 의식의 흐름대로 글을 작성하다보니 개인적인 이야기가 주를 이루었습니다. 어여쁜 마음으로, 재밌게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개발에서는 유독 "현업”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실제 현업에서 사용하는 개발과 그렇지 않은 개발과의 차이가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뛰어난 개발자 1명이 1000명의 어중떠중한 개발자들을 대체할 수 있다라는 말은, 제가 신입생 때부터 유명한 말이었습니다. 그래서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 먹은 순간부터, “성장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대기업에 붙어도 가지 않겠다!” 라는 조금 오만방자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이전의 결심과는 다르게 대기업(SI)에 붙으니 마음이 살짝쿵 흔들리긴 했지만(사람 마음이 이렇게 간사합니다…) 제 기대만큼 성장할 수 있는 곳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막상 채용에 붙고 나니, 금방 다른 곳에 입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획득했습니다. 그래서 입사포기를 하였고…
그로부터 1년이나... 지나고 나서야 제가 원하는만큼 "성장할 수 있는" 회사의 인턴십 과정에 합격하게 됐습니다. 아이들나라 이전에도 여러 기업에서 면접을 봤지만, 아이들나라만큼 강하게 끌리는 회사는 없었습니다. 면접은 대체로 면접관이 면접자를 판단하는 자리이지만, 면접자 역시 면접관을 통해 회사를 판단하니까요.
인턴십은 약 한 달간 진행됐습니다. 인턴십 과정은 축복이자 고난이었습니다. 인턴십을 진행하는 모두가 아이들나라를 마음에 들어했고, 구성원이 되고 싶어했습니다. 인턴십은 성장의 기회이지만 경쟁의 장이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한 달간 인턴십에 참여하는 모두가 치열하게 고민하고 노력했습니다. 저 역시 오랜 기다림 끝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였기에 한 달간 온 정신을 쏟아서 결과물을 만들고자 애썼습니다. 인턴십 진행 과정에서 성장을 지향하는 개발문화, 시니어 분들의 인사이트, 업무에 최적화 된 환경 등은 아이들나라에 더 욕심이 나게 된 포인트들이었습니다.
인턴십 과정 중 얻은 지식들을 정리한 내용들입니다.(외부 노출이 되면 안되기 때문에 모자이크 처리 하였습니다.)
인턴십이 끝날 쯤, 인턴을 진행했던 분들과 공통적으로 했던 이야기가 있습니다. 혹시 정규직 전환이 되지 못해서 떨어지더라도, 정말 많은 것을 얻고 가니 괜찮다고. 저 역시 그랬습니다. 인턴십을 진행하면서 "현업"처럼 일을 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지, 논리적인 생각으로 코드를 짜는 것은 어떤 것인 지 개발자로서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물론 떨어졌으면 마음만 아팠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혹시 아이들나라 인턴십에 지원할까 고민중이시라면, 별 고민할 필요 없이 지원하셔도 좋을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인턴십 동안 결과에 상관없이 정말 많은 성장을 하시게 될 거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란 무엇일까요? 제 생각에는 아래의 것들이 필수로 전제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