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획 : 탑스터에 대한 설명, 우리가 탑스터를 어떻게 진화(?) 시켰는지!

  2. mvp : 우리 탑스터 등록 하는 것을 보여주면 될까요??

  3. 기술적 의사 결정 : 캐싱 기능(캐싱 전/후), OpenAPI 서비스 추상화 했던 것

  4. 추후 개발 및 기술적인 도전 계획 : 팔로우 기능 & 알림 기능

(여기서 기술적 의사 결정을 하고 있다 (SSE or kafka) 배포할 때 도커의 메모리 이슈)

  1. 튜터님 질문 2가지!

Q.스포티 파이 Open API라고 되어있는데, 스포티 파이 Open API는 어떤 API를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A. Spotify library를 사용해서 Accesstoken을 받아왔습니다.

앨범 검색을 위해 Spotify의 Search API를 사용했습니다. 이때는 Spotify의 library를 사용하지 않고, RestTemplate으로 구현했습니다. RestTemplate요청을 보내고, 우리 프로덕션에 맞게 JSON데이터를 DTO로 매핑 시켜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