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올해 8월 아이들나라 Backend팀에 합류하게 된 중고 신입 개발자 김효진입니다. 타 직무에서 개발자로 직무를 전환하며 느낀 개발이 즐거운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인사드립니다!
앞선 소개에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실 것 같아 간단한 Q&A를 준비했습니다.
왜 중고 신입이죠? 다른 회사에서 이직을 하신 건가요?!
LG유플러스에 19년도에 입사하였고, 올해로 4년 차 사원이지만 아이들나라 Backend팀에서 처음으로 직접 개발하는 개발자라는 직무를 맡에 되어 ‘중고 신입 개발자’ 라고 표현했습니다. 😊
뭐야 그럼 비전공자이셨나요?!
‘컴퓨터 과학, 컴퓨터 공학’ 전공자라는 엄격한 잣대로 보면 비전공자입니다. 다만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하여 하드웨어적인 컴퓨터 구조에 익숙하고,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 알고리즘, 이산수학, 네트워크 등 이학적, 공학적 지식이 베이스로 있는 상태였습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래밍 동아리 활동도 했었기에 개발을 한 번도 해보지 않은 비전공자와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그럼 직무 이전 전에는 개발자와 무관한 직무였나요?!
서비스의 개발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는 개발 PM으로, 아예 개발과 무관하진 않았습니다. 다만 직접 개발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개발자의 즐거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삶의 가치는 다양한 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저는 직업적인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입니다. 하루의 1/3 이상을 소요하는 직업에서 즐거움을 찾아야 한다는 진부한 표현에도 공감하는 편입니다. 저 같은 경우 직업적인 면에서 내가 잘 하고 있고 올바르게 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 삶에 활력이 생기고 자존감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경험이 모여 즐거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자존감은 세부적으로 자기 효능감, 자기 조절감, 자기 안전감이라는 3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저에겐 개발자라는 직업이 이 세 가지를 잘 채워주었습니다.
자존감의 요소
자기 효능감이란 기본적으로 내가 얼마나 쓸모 있는 사람인지, 내가 얼마나 필요한 사람인지 느끼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의 경우엔, 내가 하는 일이 조직에 도움이 될 때, 내가 하는 일이 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 자기 효능감을 느낍니다.
개발자는 매일매일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커밋(commit)’ 하는 과정을 통해 서비스에 ‘기여(contribution)’ 합니다. 커밋한 이력을 통해 내가 하루 동안 얼만큼의 기능을 개발하고 이슈를 처리해 동료들의 업무를 돕고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했는지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소한 커밋 로그 📝
아이들나라 Backend팀에 합류한 뒤에는 디즈니 러닝+ 내에 있는 부모 리포트 관련 개발을 맡았는데요. 기획을 분석하고, 기능을 개발하고, 이슈를 처리하여 커밋 하는 과정에서 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이들나라에서 사용하는 협업툴 JIRA에서 관리하는 티켓 (이슈 / task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