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발견했을 때 버릴까 말까 고민해 본 사람 손! 이젠 그 고민 안 해도 되는 거 아시죠? 올해 1월부터 유통기한이 소비기한으로 바뀌었거든요. 어킵이 소비기한의 정확한 정의는 물론, 식품을 안전하고 오래 섭취할 방법을 알려 드릴게요!

<aside> 🔎 **오늘의 a;keep 미리보기

  1. 유통기한, 소비기한 제대로 알기
  2. 식품별 올바른 보관 방법
  3. 저렴하고 안전한 식품 구매 꿀팁**

</aside>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다른 점이 뭔데?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이 헷갈릴 땐, **‘주체’**를 파악하면 돼요. 유통기한은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을 알려주는 영업자 중심, 소비기한은 보관 방법을 준수할 경우 개인이 섭취해도 안전에 이상이 없는 기한을 알려주는 소비자 중심의 제도거든요. 이런 차이로 인해 유통기한은 제품의 맛과 품질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기간이 소비기한에 비해 짧게 설정되어 있어요.(유통기한은 60~70%, 소비기한은 80~90%)

Ex) 어떤 식품의 품질 유지 기간이 10일이라면, 유통기한은 6~7일, 소비기한은 8~9일이 되는 셈이죠.

어킵 유통기한 소컷 이미지 수정 (3).jpg

갑자기 왜 소비기한으로 바뀐 거야?

지난해 8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식품의 날짜 표시에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을 표시하는 내용으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어요. 이는 무려 38년 만에 생긴 변화였죠.(1985년 유통기한 도입) 정부가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까닭은 뭘까요?

첫째, 소비자가 유통기한을 식품의 ‘폐기’ 시점으로 오인하기 때문이에요.

유통기한은 판매 가능 기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식품에 표시된 방법에 맞게 보관한다면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섭취해도 안전에는 이상이 없어요. 문제는 대다수가 이 사실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해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버려야 한다고 오해하고 만 거예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조사를 살펴봐도, 유통기한 탓에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국내에서만 1만 4,314톤에 달했어요.(2019년 기준)

둘째, 국제사회에서 소비기한을 통용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유럽연합(EU)을 포함한 일본, 호주 등에서는 일찍이 유통기한 대신 품질유지기한*과 소비기한을 함께 표시해 왔어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역시 유통기한 표시가 소비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유로 2018년 식품 기한 규정에서 유통기한을 제외했죠. 그간 유통기한을 표시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미국(주마다 다름) 정도에 불과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