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rn2BeRoot를 진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파티션 할당이다. 이번 글에서는 파티션 할당 과제(rocky linux를 기준)를 진행하면서 궁금했던 부분들에 대해서 탐구해 볼 예정이다.

LVM vs 표준파티션

Born2BeRoot를 진행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벽이 바로 LVM이다. LVM은 Logical Volume Manager의 약자로 LINUX OS가 가진 기능 중 하나라 보면 되는데(정확히는 커널의 일부다), 그렇다면 표준 파티션과 무엇이 다른 것일까?

OS가 디스크에서 파일을 불러오고 저장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디스크에 존재하는 공간을 할당하는데 이걸 파티션이라 한다. 전통적으로는 파일 시스템이 이 파티션을 직접 하나씩 사용했다면 LVM은 파티션들을 가상화 해서 그룹을 만든 후, 그 그룹을 다시 나눠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다음은 표준 파티션과 LV(논리 볼륨)로 구성된 시스템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lvm (1).png

/boot, /home/a, /home/b는 표준파티션으로 생성하였기 때문에 파티션과 바로 연결되는 반면, 나머지 영역은 볼륨 그룹인 LVMGroup에서 각각 논리 볼륨으로 다시 나뉘어져 할당된다.


lvm의 장점은 무엇일까?

  1. 유동적으로 그 용량을 줄이고 늘리는 것에 용이하다.
  2. 여러 장치를 하나의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는 sda하나의 디스크만 사용하는 것을 보여줬지만 단일 볼륨 그룹에 여러 물리 볼륨(다른 디스크여도 가능)를 붙일 수 있다.

만약 sda의 용량이 부족하여 sdb라는 새로운 디스크를 설치한 후 확장한다면 다음과 같아질 것이다.

lvm_extend.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