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드는 쉽게 삭제되고, 쉽게 재생성 될 수 있다. 내가 통신하고 있던 파드가 재생성되면 IP도 변경될 수 있다. 계속해서 IP가 바뀌는 환경에서 쿠버네티스에서는 파드IP로 직접 접근을 하지 않고 서비스(Service)를 통해서 접근한다. 서비스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로드밸런서 처럼 동작한다. 클러스터 내부에서 고정 IP를 가지고 있고 연결된 파드로 네트워크 패킷을 전달해준다.
ClusterIP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접근 가능한 서비스다. 내부에서 파드간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NodePort
노드포트는 클러스터를 이루는 모든 노드의 특정 포트를 외부로 노출 시키고 이를 통해서 외부에서 노트포트 서비스를 통해서 파드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노드가 3대고 노드포트를 30001번 으로 지정하면 노드 3대 모두 30001번 포트가 열리고 들어온 패킷이 서비스를 통해서 파드로 연결된다.
LoadBalancer
실제 로드밸런서 장치를 서비스로 사용하는 것이다. 외부에서 로드밸런서로 들어오는 패킷을 파드로 연결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