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의 패러다임
조직의 성과를 위해 개인의 성장을 희생하는,
신입사원으로 입사를 했을 때 원하는 미래 커리어를 위해 내가 거쳐야할 CDP(career development plan)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조직의 HRD부서가 탑다운 방식으로 조직구성원의 교육과정을 가이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 지속되는 수익모델
상대적으로 폐쇄적/물리적 일터환경
현대의 패러다임
<aside> 💡 1. 조직이 개인의 학습과 개발과정을 온전히 통제할 수 없으며, 개인의 자율성과 전문성에 기대 학습을 지원하는 형태로 변화함. 2. 기업의 일터환경이 점차 디지털화되면서 조직의 현황/상태 등을 보여줄 수 있는 디지털 기록의 증가 3. 학습분석은 학습자의 데이터를 수집, 측정, 분석하여 그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최적화를 돕는데 기여할 수 있음 → Professional Learning Analytics 의 필요성
</aside>
본 챕터에서 사용되는 "professional learning"의 의미
전문적 지식과 사고 자극, 업무 성과 개선, 최신 정보에 근거한 실천을 위한 전문가의 활동
Professional Learning의 분류
(좀 엉성하긴 하지만.. 일단 개략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도로 적당함)
[PLA의 이상]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전문가들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그들의 지식과 경험이 공유 및 축적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