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적으로 살펴보면 그래프의 A상태와 B상태의 중간선상에 있는 C지점의 상태는 A와 B간의 거리로써 생각하면 편할 듯 하다. 다만 정확하게는 거리가 아니라 면적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듯 하다.
위 그림은 조금 수식적으로 살펴볼 때 이해하기 편할 듯 하고
저는 아래의 그림으로 설명하면 별이 그려져 있는 공간을 이제 upsampling을 통해 p1 p2 p3 p4가 꼭지점(?)이 되는 직사각형으로 확장된다고 했을 때, 인
원래는 sample을 잘 늘려서 하는데 이러면 격자무늬가 잘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