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키워드

밑줄 친 부분

06장 데이터 타입

<aside> 💡 템플릿 리터럴 내에서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줄바꿈이 허용되며, 모든 공백도 있는 그대로 적용된다. p.64

</aside>

<aside> 💡 템플릿 리터럴 내에서는 표현식 삽입을 통해 간단히 문자열을 삽입할 수 있다. … 표현식을 삽입하려면 ${}으로 표현식을 감싼다. p.64-65

</aside>

10장 객체 리터럴

<aside>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지만 객체 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이다. p.124

</aside>

<aside> 💡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내부에 지정하는 프로퍼티 키는 반드시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이어야 한다. p. 131

</aside>

<aside> 💡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접근하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이때 ReferenceError가 발생하지 않는데 주의하자. p. 131

</aside>

<aside> 💡 프로퍼티 키가 식별자 네이밍 규칙을 준수하지 않는 이름, 즉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 가능한 유효한 이름이 아니면 반드시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단, 프로퍼티 키가 숫자로 이뤄진 문자열인 경우 따옴표를 생략할 수 있다. p. 131

</aside>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aside> 💡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은 변수가 아니라 값에 대한 진술이다. p. 137-138

</aside>

<aside> 💡 상수와 변경 불가능한 값을 동일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일 뿐이다. p. 138

</aside>

<aside> 💡 두 변수의 원시 값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 되어 어느 한쪽에서 재할당을 통해 값을 변경하더라도 서로 간섭할 수 없다. p. 146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