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피 홈피 공유 이미지 og_image.jpg

아무 생각 없이 엔터만 치다 보니 직장 생활이 훌쩍 10년이 넘어가고 많은 분들 겪는 것처럼 저에게도 힘든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현타? 번아웃? 어떤 단어가 적합한 상황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회사에서 단 하루 아니 한시간을 앉아 있는 것이 미치도록 힘들었습니다. 그 때 들었던 오만가지 생각 중에서 저를 강하게 사로 잡았던 질문은 **'내가 만든 가치는 어디로 갈까?'**라는 것이었습니다.

세금은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그 중 하나의 분류 기준이 '직접세와 간접세'입니다. 뜬금없이 세금 이야기를 꺼낸 이유는 당시 하던 일이 세금(관세)을 다루는 것이었다 보니 자연스레 연상하면 고민을 시작했었습니다. 간접세는 세금을 내는 사람(납세자)과 실제로 그 세금을 부담하는 사람(담세자)이 다른 세금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부가가치세입니다. A가 B에게 10만원짜리 물건을 팔 때 물건값 10만원에 부가가치세 1만원을 함께 청구하고 그 내역을 세금계산서에 구분 기재합니다. 그리고 A는 B로부터 받은 돈 중 세금 1만원은 세무서에 납부하는데 이 과정을 '세금이 전가된다'라고 합니다. A가 창출(부가)한 가치 10만원에 대한 부가가치세 1만원은 A가 내지만 실제로 B가 부담한 것이기 때문에 부가가치세를 간접세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내가 창출한, 내가 만들어낸 가치는 어디로 전가되는 것일지 생각했습니다.

저도 일을 했고 무언가를 생산했으니까 만들어진 가치가 있을 것인데 그게 어디로 갈까 생각해본 것이었습니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제가 만든 가치는 1차적으로는 소속된 회사(대표님), 2차적으로는 고객사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고객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end user)에게 전가되고 있었습니다.

치기 어린 생각이지만 그 가치가 조금 더 나에게 집중되고, 조금 덜 소비적으로 사용되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고급 자동차나 명품의 소비에 기여하기 보다 세계 평화나 지구 생태계에 기여하는 등 흔히 말하는 '좋은 곳'에 내가 만든 가치가 사용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생각 끝에 스타트업(바닥)으로 소속을 옮겼고 또 몇 년이 지난 지금 본격적으로 작은 서비스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과정의 첫 번째 기록을 자문자답의 형태로 남겨봅니다.

이름이 뭔가요?

서비스 이름은 히크로도스입니다. 라틴어 hic Rhodus로써 '여기가 로도스다' 라는 뜻으로 이솝우화에 등장하는 대사입니다.

내가 로도스 섬에 갔을 때 그곳에서 나는 누구보다도 더 높이 뛰었다네.

이 이야기는 이솝 우화의 한 장면으로 어느 허풍쟁이 청년이 많은 사람들 앞에서 늘어 놓은 변명입니다. 이 말은 들은 어떤 사람이 그에게 외쳤습니다.

“Hic Rhodus! Hic saltus!

“히크 로도스! “히크 살투스!”, “여기가 로도스다! 여기서 뛰어라!”

주변의 상황을 탓하며 노력과 실행을 하지 않는 청년을 향한 따끔한 충고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도약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상의 섬이 되기를 희망하는 뜻을 담아 이름을 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