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난 사람들’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성난 사람들’ 포스터 (출처: 넷플릭스)

영화계에 오스카상, 음악계에 그래미상이 있다면 방송계에는 에미상이 있죠. 지난 1월 열린 제75회 에미상 시상식에서 **넷플릭스 드라마 '성난 사람들(BEEF)'**은 11개 부문 후보로 지명됐고, 작품, 감독, 각본, 남우주연, 여우주연 등 주요 8개 부문을 휩쓸었습니다.

사소한 사건에서 비롯된 분노를 그려낸 블랙코미디가 이토록 많은 사랑을 받은 데는 현대인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있기 때문일 겁니다. 자주 스스로에게 화가 나고 누군가를 미워하게 되는 하루하루가요. 특히 직장인이라면 일터에서 싹트는 분노가 많을 텐데요. 오늘 어킵에서는 드라마 ‘성난 사람들’을 통해 직장생활에서 생겨나는 분노를 마주하고 다루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aside> 🔎 **오늘의 a;keep 미리 보기

  1. 우리는 왜 화가 날까?
  2. 분노의 원인을 찾는 마인드 컨트롤
  3. 분노를 해소 시키는 행동들**

</aside>


우리는 왜 화가 날까?

분노의 공식

‘성난 사람들’의 두 주인공 대니와 에이미는 어느 오후, 마트 주차장에서 난폭운전으로 얽히게 됩니다.

평생 부모님과 남동생을 위해 희생해 온 장남 대니는 가난한 도급업자입니다. 제대로 풀리는 일이 하나도 없던 그는 ****숯불 화로로 자살을 시도하지만, 매번 실패하고 화로를 모두 반품하려 합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영수증이 없어 반려 당하고 오는 길이었죠.

화가 머리끝까지 차오른 대니의 트럭 앞에 에이미의 차가 끼어드는데요. 에이미 또한 인생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한 찰나였습니다. 사업으로 자수성가하여 행복한 가정을 이룬 듯 보였지만 전부 가식으로 포장되어 있었기 때문이죠. 세상 물정 모르는 남편과의 관계에선 사랑이 사라진지 오래였고, 일 때문에 어린 딸과 시간을 많이 보내지 못했다는 죄책감도 있었습니다.

<aside> 🧮 분노의 공식

**분노 A가 일어날 가능성 P(A)**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P(A) = {(외적 자극 스트레스) - (내부 감당 능력)}

① 외적 자극 스트레스가 내부 감당 능력보다 클 때 분노가 발생한다 ② 외적 자극 스트레스가 커도 충분한 감당 능력이 있으면 분노가 발생하지 않는다

</aside>

분노는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생깁니다. 스트레스가 쌓일 대로 쌓여있던 대니와 에이미는 그저 화풀이할 상대가 필요했던 것입니다. 두 사람은 서로의 분노 트리거가 되어 순간적으로 이성을 잃고, 이 사소한 운전 에피소드는 말도 안 되는 복수극으로 이어집니다.

<aside> 🗣️ **“나한테 어떤 감정이 있는데 생긴 지 한참 됐어. 언제 시작됐는지는 기억 안 나. (…) 어떤 느낌이냐면 바닥처럼 여기가 그래. 사라지질 않아”

                                                                    - ‘성난 사람들’ 중 에이미의 대사 -**

</aside>

사실 분노는 모두에게 익숙한 감정인데도 좀처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얽혀있는 원인이 복잡해서 명확히 밝혀내기 어렵기 때문이죠. 분노의 낭떠러지로 끝없이 추락한 대니와 에이미는 더 이상 잃을 게 없어진 밑바닥에 이르러서야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집니다. 분노는 사람을 극단으로 치닫게 하는 부정적인 감정인 걸까요?

삶의 에너지로 전환될 수 있는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