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세요.!
</aside>
-
2022년도 수료생에 인터뷰입니다.
-
질문)
백엔드 부트캠프 커리 큘럼은 어떻게 될까요?
- 비대면 → 매니저님에 가이드 라인에 맞게 인강 수강 → JAVA / 알고리즘 / CS / 웹 프로젝트 / 스프링
개인적인 의견)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수업을 인강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매주 코딩 테스트 진행을 하며 코딩테스트 기준으로 등수를 매깁니다.
-
질문)
등수는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 있나요?
- 등수별로 특정 등수안에(20% ~ 30%) 드는 사람끼리 프로젝트 매칭을 해줍니다.
- 상위권은 FRONT 커리 큘럼 이랑 프로젝트 매칭
질문)
수강생님은 등수안에 들으셨나요~?
- 네 특정 등수안에 드는 그룹이었습니ㅏ.
질문)
상위자를 위한 프리미엄이 있었나요?(파이널)
- 팀 매칭 이외에 따로 프리미엄은 못 느꼈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
당연히 특정 등수에 그룹을 케어해주는 장치가 있을거라 했는데 그런 부분은 따로 없었다고 합니다.
-
질문)
장점에 대해 이야기 해주실수 있을까요?
- 다양한 강의를 제공(실무자들이 제작한)
- 과정중에 오프라인 특강을 1-2번정도 실무자분이 진행
- 파이널 프로젝트때는 멘토링 부여
- 코드 리뷰(0) - 직접 요청 해야 합니다.
- 성능관련 가이드는 따로 먼저 (x)
- 잘하는 친구들에게 좋은 과정이라고 생각들었습니다.
- 버티기만 하면 큰 사이클을 체험가능하고 생각합니다.
-
질문)
아쉬운점이 있다면?
- 파이널 프로젝트때는 멘토링 부여
- 팀당 1명에 멘토분이 붙는게 아니라서 멘토분이 부족했어요.
- 코드리뷰 , 질문등 포인트들을 직접 나서서 챙겨먹어야 합니다.
- 광고에는 기업 매칭등에 내용이 있었지만 제 기수는 기업연계등에 과정들은 없었습니다.
-
질문)
사후 관리는 어땠나요?
종합적인 개인 의견
- 전에도 느꼈지만 **
어느정도 잘하는 친구들에게 권장하고 싶은 커리큘럼
**입니다.
- 다양한 강의 제공이 좋다.
- 매주 코딩테스트 진행을 통해 코딩테스트 대비를 같이 해주는점은 좋아 보였습니다.
- 부트캠프마다 성격이 다르는거 같은데 여기는 잘하는 사람들에게 초점이 집중된 과정으로 보였습니다.
- 처음 시작하는 친구들에게는 케어받거나 따라가기가 힘들어 보입니다.
- 초급 , 입문용 과정자체가 따로 있었으면 더 좋지 않을까
- 인원대비 멘토 배정 인원이 부족해 보였습니다.
- 팀장 1 멘토 구조가 아니다보니 잘하고 궁금한게 많은 수강생들에 질문만 받아도 빠듯하여 상위권이 아닌친구들한테는 질문에 기회가 많지 않았을거라고 추측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