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nUrl: /book/how-people-and-machines-are-smarter-together

source: yes24

source: yes24

수학의 쓸모

우리에겐 왜 여전히 수학이 필요한가

'쓸모'를 풀어 말하면 '쓸만한 가치'를 의미한다. 수학의 쓸만한 가치가 무엇일까? AI가 좋아하는 영화를 추천해주고 인간에게 바둑까지 가르치는 시대에 수학이 우리에게 과연 의미가 있는지 의문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는 여전히 그리고 앞으로도 수학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그 이유를 알려준다.

최근에 이르러 AI, 머신러닝과 같은 기술들이 눈에 띄게 발전했지만, 사실 AI의 주요 개념들은 등장한지 꽤 오래 되었다. 프랑스 과학 소설 작가 쥘 베른은 150년 전에 최초로 지능을 가진 로봇에 대해 다루었고, 자율주행차의 핵심 알고리즘으로 사용되는 베이즈 규칙은 1750년 대 영국의 장로교 목사 토마스 베이즈에 의해 발견되었다. 또한 AI의 패턴 인식을 통한 분류는 1912년 수학자들로 이뤄진 '하버드컴퓨터스'의 멤버, 헨리에타 레빗이라는 수학자의 맥동변광성 관측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43년 맥컬러-피츠 신경망 모델을 만든 워런 맥컬러와 월터 피츠

1943년 맥컬러-피츠 신경망 모델을 만든 워런 맥컬러와 월터 피츠

인공지능이 100년도 안되어 이렇게 폭발적인 속도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인류가 다져온 수학적 기반과 기술의 발전이 합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수학을 통해 현재 우리가 딛고 있는 인공지능이라는 연구 분야가 어디서 시작되었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수학이라고 해서 겁 먹을 필요 없다. 이 책의 가장 큰 장벽은 '수학'이라는 제목이지만 막상 책을 펼치면 어려운 수식은 하나도 없다. 편집자가 저자들에게 수학 기호 하나에 몇 천명의 독자가 떨어져나간다고 으름장을 놓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어려운 수학적 이야기 보다는 수학과 기술이 거쳐온 과거, 그리고 현재, 미래의 상용화될 기술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읽을 수 있다.

수학과 기술, 과거-현재-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