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성 = 판매자와 구매자들이 시장 조건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 / 수요량이나 공급량이 그 결정변수의 변화에 대해 반응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앞서서(4장) 영향의 방향성뿐만아니라 크기도 분석할것임
수요의 가격탄력성 = 어떤 재화의 가격이 변할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수요량의 변확률을 가격 변화율로 나눈 수치 / 가격이 변할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탄력적 = 한 재화의 수요량이 가격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변함
비 탄력적 =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때 수요량이 약간 변함
재화의 가격이 낮을수록 / 소득이 높을수록 / 대체제의 가격이 높을수록 / 보완재의 가격이 낮을수록 ⇒ 수요증가
가격탄력성을 결정하는 몇가지 규칙들 (일반적인 규칙은 아님/발견한 규칙들)
밀접한 대체재가 있으면, 소비자들은 그 재화 대신 다른 재화를 사용할수 있으므로 재화의 수요는 탄력적이다.
e.g. 버터와 마가린은 탄력적 / 달걀은 비 탄력적
필수품은 비 탄력적 / 사치품은 탄력적
좁은 재화범위는 탄력적 / 넓은 재화범위는 비 탄력적
e.g. (비 탄력적) 식료품 > 아이스크림 > 바닐라 아이스크림 (매우 탄력적)
시간을 길게 잡을수록 탄력적 / 좁은 시간 비 탄력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