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템플릿 리터럴 내에서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줄바꿈, 공백이 적용된다. (p. 64)
</aside>
<aside> 💡 ${}으로 표현식을 감싸면 문자열이 아니더라도 타입이 강제로 변환되어 삽입된다. (p. 65)
</aside>
<aside> 💡 표현식 삽입은 반드시 템플릿 리터럴 내에서 사용해야 한다. 템플릿 리터럴이 아닌 일반 문자열에서의 표현식 삽입은 문자열로 취급된다. (p. 65)
</aside>
<aside> 💡 프로퍼티는 객체의 상태를 나타내는 값(data), 메서드는 프로퍼티(상태 데이터)를 참조하고 조작할 수 있는 동작(behavior)이다. (p. 125)
</aside>
<aside> 💡 리터럴(literal)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하여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을 말한다. (p. 126)
</aside>
<aside> 💡 객체는 프로퍼티의 집합이며,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다. (p. 127)
</aside>
<aside> 💡 프로퍼티 키에 문자열이나 심벌 값 외의 값을 사용하면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문자열이 된다. 예를 들어, 프로퍼티 키로 숫자 리터럴을 사용하면 따옴표는 붙지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문자열로 변환된다. (p. 129)
</aside>
<aside> 💡 프로퍼티 값이 함수일 경우, 일반 함수와 구분하기 위해 메서드method라 부른다. (p. 130)
</aside>
<aside> 💡 대괄호 표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대괄호 프로퍼티 접근 연산자 내부에 지정하는 프로퍼티 키는 반드시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이어야 한다. … 따옴표로 감싸지 않은 이름을 프로퍼티 키로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식별자로 해석한다. (p. 131)
</aside>
<aside> 💡 객체에 존재하지 않는 프로퍼티에 접근하면 undefined를 반환한다. 이때 ReferenceError가 발생하지 않는데 주의하자. (p. 131)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