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1995년, 웹 브라우저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던 넷스케이프가 웹페이지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브렌던 아이크의 주도 하에 개발한 언어. (p. 7)
</aside>
<aside> 💡 1999년, Ajax의 등장으로 페이지 전체를 렌더링하던 기존의 불리한 방식에서 수정된 부분만 렌더링하는 방식으로 빠른 성능과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제공하게 되었다. (p. 9)
</aside>
<aside> 💡 자바스크립트는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기본 뼈대를 이루는 ECMAScript와 브라우저가 별도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Web API(DOM, BOM, Canvas 등등)을 아우르는 개념. (p. 13)
</aside>
<aside> 💡 대부분의 모던 자바스크립트 엔진(크롬의 V8, 파이어폭스의 SpiderMonkey 등)은 인터프리터와 컴파일러의 장점을 결합해 비교적 처리 속도가 느린 인터프리터의 단점을 해결한다. (p. 14)
</aside>
<aside> 💡 모든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내장한다. (p.17)
</aside>
<aside> 💡 변수는 값의 위치를 가리키는 상징적인 이름이다.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다시 읽어 들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값이 저장된 메모리 공간에 상징적인 이름을 붙인 것이 바로 변수다. (p. 37)
</aside>
<aside> 💡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을 변수명, 변수에 저장된 값을 변수 값,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할당,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들이는 것을 참조라 한다. (p. 38)
</aside>
<aside> 💡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구별하기 위해, 식별자는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주소를 기억해야 한다.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 (p. 39)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