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SMo40] 커뮤니티 먼스_A3.png

2021.11.06(토) - 11.21(일)

지역의 예술인들과 영감을 나누는 CoSMo40 Community Month, 올해에는 다가오는 11월 6일부터 진행됩니다. 이번 2021 CoSMo40 Community Month에서는 사운드·미디어 아티스트 류필립, 키네틱 아티스트 박종영과 축제, 음악, 전시 등 다방면으로 기획을 펼치는 원더러스트에이앤씨가 각각의 개인전을 선보입니다. 각자 다른 언어로 다채로운 예술을 보여줄 이번 커뮤니티 먼스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KakaoTalk_20211111_180700022.png

류필립 <공감각적 파도 중첩 Synesthetic Ocean Wave Superposition>

류필립의 개인전 <공감각적 파도 중첩>은 인류에게 있어 사운드의 시작이자 동시에 끝이라고 할 수 있는 파도 소리에 대한 경외를 담고 있다. 또한 파도의 개념적, 시간적, 그리고 공간적 확장을 다룬다. ‘중첩 패턴 감상’과 ‘기계의 대리 상상’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제안하며, 이를 이용한 다양한 시청각 패턴을 보여준다. 각 스피커에서는 스피커마다 대응되는 실제 바다소리를 들을 수 있다. 각기 다른 시공간에서 불려온 파도들은 한 곳에 모임으로써 중첩되며, 서로의 소리를 교차 변형시키기도 하고, 따로 놓여있을 때에는 들을 수 없고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패턴을 선사한다. 나아가 전시장의 컴퓨터는 마치 인간이 파도 소리를 듣고 파도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떠올리는 것과 같은 연상 과정을 대신 수행하고 보여준다. 전방위 오디오 정보로부터 파도의 모습을 생성해내는, 그야말로 ‘대리 상상’인 것이다.

파도 소리는 많은 이명(nicknames)을 가지고 있지만, 대체적으로 ‘원천’ 또는 ‘날것’을 상징한다. 미래주의자 루이지 루솔로의 사운드 분류법에 따르면 파도 소리는 정적(silence)의 시대에 간간히 울렸던 태초의 소리이다. 이는 그가 가장 진보된 미래의 사운드 중 하나라고 묘사하는 ‘무한한 가능성의 노이즈’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파도 소리는 인류에게  있어 사운드의 시작인 동시에 끝이나 다름없는 것이다. 현재 인류가 청각 예술에 사용하는 모든 소리들은 수학적으로는 노이즈의 정제라고 볼 수 있는데, 태초부터 존재했던 대표적인 노이즈는 파도 소리이기 때문이다. 모든 육상 생물이 바다로부터 기인했다는 가설을 더한다면 파도 소리를 듣는다는 것은 인류의 모든 것을 동시에 듣는 것이 아닐까?


박종영_인스타_최종.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