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폴.webp

Untitled

MIT의 Senseable City Lab의 한 연구원, Ghaeli가 만든 알고리즘은 Google 스트리트 뷰 이미지를 검색하고 인간의 관점에서 도시가 얼마나 친환경적인지 알아냅니다. 그렇게 GVI (Green View Index) 수치 29.3%로 싱가포르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도시로 손꼽혔습니다.

면적 692.7k㎡로 서울시(600k㎡)만한 크기에 인구 약 500만명이 살고 있는 작은 나라 싱가포르. 하지만 도시 어디에서든 꽃과 식물, 잔디를 볼 수 있어 마치 잘 가꾸어진 정원 안에 있는 느낌을 받는데요. 이는 싱가포르 국가 설립 초기부터 가든시티 Garden City 라는 슬로건으로 다양한 환경 정책을 펼쳤기 때문입니다.

1/P 에서는 싱가포르의 녹지화정책을 시간 순으로 소개시켜드리려 합니다. 과거의 정책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까지 살펴보세요 👀


첫번째. 가든시티 GARDEN CITY

녹지비율을 46.5%까지 높인 프로젝트

1965년, 영국 식민 통치의 여파로 말레이시아 의회가 만장일치로 싱가포르를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추방하기로 결정합니다. 이 순간 싱가포르는 마지못해 독립을 쟁취한 최초의 민족국가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천연 자원이 부족한 작은 나라는 또 다른 방법을 찾아야 했습니다.

* 이미지: “우리는 만들었습니다. 우리는 진전했습니다. 남아시아에서 가장 깨끗하고 친화경적인 도시로서의 위상을 달성하는 것보다 더 특별하고 의미있는 달성은 없습니다.” |  출처: MND Singapore twitter

그렇게 싱가포르의 초대 수상은 리콴유(Lee Kuan Yew)는 선거에서 승리한 후 슬럼화되어 있던 싱가포르를 정비하면서 외국인의 투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클린 앤 그린 Clean & Green’ 전략을 바탕으로 녹지를 확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녹지화는 사람들의 사기를 높이고 주변 환경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한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이미지: 에버니저 하워드의 세 자석 모양의 그림. 여기에는 '도시Town', '전원Country', '도시-전원Town-Country' 중에서 "사람들이 어디에 살 것인가?"를 묻고 있다.

Untitled

Untitled

그는 정원도시의 개념을 제시한 에베니저 하워드 Ebenezer Howard의 정원도시 Garden City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싱가포르에 맞는 외국 수종을 들여왔고, 싱가포르의 녹지 정책을 장기적 관점에서 설계하였습니다. 게다가 건국 초기 토지 보상을 전제로 정부가 국유지를 대량으로 확보, 국토의 80%를 국가가 소유했기 때문에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1974년 15.8만 그루의 나무가 40년 후에는 140만 그루가 되었습니다.

* 이미지: 1986년부터 2007년까지 점진적으로 식생이 증가. 짙은 녹색은 나무, 연한 녹색은 관목 혹은 초원이다.

공원과 나무는 열대기후인 싱가포르 섬의 온도를 2-3도 낮추는 효과를 거뒀고, 녹색물결을 원하는 세계 관광객의 발길을 사로 잡았습니다. 또한 환경과 지속가능성, 도심과 녹지의 조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한국은 물론 아시아와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싱가포르의 녹색도시, 즉 가든시티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Untitled

Untitled

* 출처: Tomas / Adobe 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