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형 통신: 상대편과 확인해 가면서 통신하는 방식 → 신뢰성 & 정확성
3-way handshake: SYN과 ACK를 사용하여 확립
→ 요청을 보내고, 확립 응답을 받으면, 확립 응답에 대한 응답을 보내어 연결이 확립됨
TCP 헤더를 붙임 → 세그먼트
윈도우 크기도 TCP 헤더에 포함되어 있음
세그먼트 하나를 보낼 때마다 확인 응답을 받는 것은 비효율적
→ 세그먼트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장소 = 버퍼, 버퍼의 크기 = 윈도우 크기
→ 윈도우 크기만큼 송신측은 계속해서 보내고, 한꺼번에 응답을 받을 수 있음
→ 버퍼 크기를 넘어서는 것이 overflow
*포트번호: 포트번호를 붙이지 않고 통신하면 컴퓨터에 데이터가 도착하더라도 앱까지는 도착할 수 없음 → 포트 번호로 애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