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랜서
일반적으로 서버의 부하를 분산 해주는 장치 또는 기술을 뜻함
보통 서버 상단 네트워크에 위치
서버 한 대에 집중되지 않게 트래픽을 관리하여 각 서버가 최적의 효율을 발휘할 수 있게 해

로드 밸런서의 기본 기능
- Health Check
- 알고리즘에 따른 분산 처리
- Least Connection 알고리즘
- Round Robin 알고리즘
- Hash 알고리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Random Select
- Ratio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사설 ip → 공인 ip 변환, 공인 ip → 사설 ip 변환
-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로드 밸런서에 도달하면, 로드 밸런서는 NAT를 사용해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자신의 주소로 변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할 서버를 선택
- 선택된 서버에게는 로드 밸런서의 IP 주소와 클라이언트의 요청 내용이 전달되므로, 서버는 요청을 처리한 후 결과를 로드 밸런서에게 보냅니다
- DSR (Direct Server Return)
- 서버에서 로드밸런서로 가지 않고 바로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방식
- 로드밸런서를 거치는 트래픽 부하를 줄임
로드밸런서가 하나일 때 로드밸런서가 다운되면?
→ Single Point of Faulure (SPOF)가 생김
그래서 로드밸런서도 스케일 아웃이나 마스터 슬레이브 구조를 가져서 대비를 해야 함
<aside>
💡 Single Point of Failure
전체 시스템에서 특정 포인트에서 에러가 났을 때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는 경우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