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키워드

밑줄 친 부분

04장 변수

<aside> 💡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p.36)

</aside>

<aside> 💡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 (p.39)

</aside>

<aside> 💡 변수에 값을 재할당하면 변수의 값은 이전 값에서 재할당한 값으로 변경된다. 처음 값을 할당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이전 값이 저장되어 있던 메모리 공간을 지우고 그 메모리 공간에 재할당 값을 새롭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그 메모리 공간에 숫자 값을 저장한다. (p.46)

</aside>

06장 데이터 타입

<aside> 💡 개발자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타입을 구별해서 값을 생성할 것이고,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타입을 구별해서 값을 취급할 것이다. (p.59)

</aside>

<aside> 💡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은 원시 타입이며, 변경 불가능한 값이다. … 문자열이 생성되면 그 문자열을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p.62)

</aside>

<aside>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데이터 타입, 즉 값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즉, 변수에 할당되는 값의 데이터에 따라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가 결정된다. (p.69)

</aside>

<aside> 💡 자신이 작성한 코드에서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하는지, 발생한다면 어떤 타입의 어떤 값으로 변환되는지, 그리고 타입 변환된 값으로 표현식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 예측 가능해야 한다. 만약 타입 변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거나 예측이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오류를 생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70)

</aside>

<aside> 💡 변수의 유효 범위(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들어 변수의 부작용을 억제해야 한다. 변수의 유효 범위가 넓으면 넓을 수록 변수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전역 변수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처리 흐름을 추적하기 어렵게 만들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오류의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게 만든다. (p.73)

</aside>

09장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aside> 💡 자신이 작성한 코드에서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하는지, 발생한다면 어떤 타입의 어떤 값으로 변환되는지, 그리고 타입 변환된 값으로 표현식이 어떻게 평가될 것인지 예측 가능해야 한다. 만약 타입 변환 결과를 예측하지 못하거나 예측이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오류를 생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109)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