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하는 일을 소개해 주세요.

올해 초 대학원 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현재는 기업의 연구원으로 분자 시뮬레이션 파트를 담당하고 있어요.

분자 시뮬레이션이란 개념 자체가 생소한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건가요?

보통 화학 분야 연구자라고 하면 흰 가운을 입고 실험하는 모습을 떠올리기 쉽잖아요. 저는 화학물질들의 특성을 AI 기반으로 계산, 예측하는 작업을 주로 해요. 재료 스크리닝(screening)이라 부르기도 하죠. 신소재를 개발할 때 수많은 후보 물질이 있는데, 과거에는 이걸 사람이 일일이 확인해야 했어요. 에디슨이 전구 필라멘트 재료로 텅스텐이 최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기까지 실험을 수천 번 한 것처럼요. 제가 하는 일은 이러한 실험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도록 돕는 일이예요.

마치 연금술사가 하는 일처럼 들리네요.

보통 시뮬레이션을 표현할 때 ‘과학 현상의 불완전한 모방’이라고 해요. 실제 실험 결과와 100% 일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요. ‘이렇게 재료를 만들면 최고의 성능을 낼 수 있습니다’라고 정답을 내는 일은 할 수 없는 거죠. 만약 그게 가능해지면 재료 과학의 성배(聖杯)라고 말할 수 있을 거예요. 다만, 제가 하는 일로 1만 개의 후보 물질 중 실험해 볼 가치가 있는 100개를 의미 있게 추려 실험 기간이나 비용을  줄이거나, 재료를 조합해 특정 성능이 발견됐을 때 그에 대한 이론적인 해석을 내놓을 수는 있죠.

분야에 관심을 갖게 특별한 계기라도 있었나요?

뭔가 멋있게 얘기할 거리가 있으면 좋겠는데 사실 그렇진 않아요. 저는 소위 말하는 똥손인데요, (웃음) 화학은 분야 특성상 실험이 많잖아요. 손재주가 없는 편이라 실험으로 대성하긴 어렵겠다고 일찍부터 생각했죠. 어떻게 하면 실험 없이 공부를 계속할 수 있을까 알아 보던 차에 계산 화학이라는 분야를 접했는데 너무 재미있었어요. 실험도 피할 수 있었고요. 그렇게 시작하게 됐어요. 그러고 보니 마지막으로 실험복 입고 실험실에 들어간 게 한 7년 전이네요.

기업 소속 연구원으로서의 생활은 만족스럽게 하고 있나요?

박사 과정 마칠 즈음 이런 고민을 했어요. ‘내 기술을 어디에 쓸 수 있지?’, ‘이 기술로 돈을 벌 수 있을까?” 학계나 국책 연구소가 아닌 기업 취직으로 커리어 방향을 정하면서 그 고민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쉽게 내릴 수 있어 좋았어요. 앞으로 내 기술과 연구가 이런 식으로 연결되고 구현되겠구나 하는 큰 그림도 그릴 수 있고요. 급여나 복지, 연구 인프라도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죠. 반대로, 이러한 장점에 맞물려 업무 주도성이 많이 낮아진다는 아쉬운 점도 분명 존재해요.

그런 아쉬움은 어떻게 해소하시고 있나요?

회사마다 문화나 분위기가 다르겠지만, 저희는 정규 업무 시간 중 일부를 도전적인 과제 수행에 할애할 수 있도록 해요. 당연히 주 업무는 아니지만, 사이드 프로젝트 성격으로 새로운 일을 탐구하거나 마음 맞는 사람들과 팀을 꾸려 신규 과제를 수행할 수도 있죠. 또 여러 회의에 참관해 제가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부분이 보이면 적극적으로 제안해 업무를 만들기도 하고요. 회사 밖에서는 글을 쓰는 것으로 해소하고 있어요. 글쓰기의 좋은 점은 여러 가지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시작부터 끝까지 오롯이 내가 주도하는 프로젝트라는 점이 가장 매력적으로 느껴지더라고요.

**“단편적인 지식 한 조각을 읽었을 때 그것을 이해했다고 느끼긴 쉽지만, 그게 정말 자기 것이 되는 경우는 드물어요.

그것을 둘러싼 여러 정보들이 마치 그물망처럼 연결돼 서로 지탱할 때 비로소 값어치 있는 내 지식이 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아주 좋은 방법 중 하나가 글쓰기예요.**

DSC0561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