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녕하세요 1조 발표를 맡게된 유진영, 이세희입니다. 발표시작하겠습니다. 2 저희는 프로젝트를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했습니다 3 발표는 소개부터, 트렌드분석, 문제 정의, 시장 분석, 제품 기획 및 목표, 타깃 설정, 마케팅 방안, 광고 소재, 성과 및 핵심지표를 순서대로 진행하겠습니다.
4
5 이번 프로젝트 목표는 현재 식품 및 외식 트렌드와 고객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품을 기획하여,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 참여를 유도하는것입니다. 6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가상의 브랜드 “버기니(Burgini)”를 만들었고, 이 브랜드는 맥도날드(McDonald's)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맥도날드로 선정한 이유는 패스트푸드 분야 1위로 업계를 선도하는 대표 브랜드이기 때문입니다. 7 버거 시장을 살펴 보니, 버거 시장의 규모는 1인 가구와 배달 수요 증가로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약 4조 원이며 2028년에는 5조 원까지 성장이 예상됩니다. 그리고 한국에는 약 2.5만 명이 비건인으로 비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편으로, 브랜드들은 이에 발맞춰 더 건강한 메뉴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8 저희는 버거 시장의 배경을 살펴본 뒤, 외식·식품업계의 최신 트렌드와 접목해 우리 브랜드에 적용하고자 현재 트렌드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9 외식업계에서는 전반적으로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 zero 제품과 비건 메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것을 확인했습니다. 다음은 식품업계의 트렌드 4가지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10 토핑 경제는 마라탕과 같이 직접 나만의 것을 만드는 소비자의 심리에 출발한 것으로 주 상품보다 그 상품에 부가적으로 있는 옵션들이 소비자에게 매력으로 다가오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11 헬시 플레저는 z세대를 기반으로 유행하는 건강관리 방법으로 맛은 비슷하지만 칼로리는 낮은 대체 식품을 먹거나 양을 줄이는 등의 행위가 있습니다. 12 저속 노화는 영양분을 균형 있게 섭취해서 피부, 신체 등의 노화 속도를 늦추는 건강한 생활방식을 의미합니다. 13 원 포인트업은 소금의 종류 변화, 품질 높은 오일의 사용 등 아주 작은 디테일에 변화를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14 식품과 관련된 뉴스들에서 “저당 및 저염”과 같은 키워드들이 지속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저당, 저염에 관심이 높다고 판단되어 고객의 선호도를 확인해 본 결과, 선호도 측면에서도 저당, 저염 등과 같은 키워드들이 상단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현재 식품 업계는 고객의 높은 선호도와 더불어 저당, 저염 관련 신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15 다음으로, 저희는 앞서 말한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을 시작했습니다. 16 자사앱의 매장 리뷰 데이터를 확인 해본 결과 2024년에 평균 평점 3.14점 이하로 별점이 떨어지며 점점 리뷰 별점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17
Prophet(프로핏) 모델을 기반으로 2024년 9월 10일부터 2025년 9월 9일까지의 월별 평균 평점을 분석하고 12개월 이후를 예측한 결과, 일정 시점부터 평점이 3점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자사 앱 리뷰가 현재 추세대로 지속될 경우, 평점이 3점대를 유지하지 못할 만큼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18
리뷰 평점에서 나타나는 고객들이 느끼는 버기니에 대한 불만을 파악하기 위해 리뷰 상세 내역을 워드클라우드로 분석해보았습니다.
19
그 결과 버기니의 버거가 ‘짜고 달다’는 언급이 자주 나타났습니다. 이는 평점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맛에 대한 소비자 인식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향후 평점 하락세가 더욱 가속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20
지금까지 나온 결과를 보고 “일부 고객의 입맛에만 짜고 단 걸까?” 아니면 “버기니 버거가 짜고 단 걸까?”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21
그래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버기니의 영양성분을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메뉴별로 한끼 권장량과 비교해 본 결과, 나트륨의 양이 권장량에 비해 135.1%나 초과한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