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기획 (시현, 진우)
| 구분 | 영역 | 평가 항목 | 들어가야 할 내용 |
|---|---|---|---|
| 프로젝트 기획 | • 프로젝트 목표 및 문제 정의 | ||
| • 데이터 활용 및 실행 계획 | |||
| • 기대 효과 및 팀 구성 | 1. 프로젝트 목표 및 문제 정의 | ||
| • 프로젝트 목표가 명확하고 SMART 기준에 부합하며,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설정되었습니까? | |||
| •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명확하게 정의되었으며, 프로젝트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충분히 반영합니까? |
2. 데이터 활용 및 실행 계획 • 데이터 활용 및 분석 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가요? • 제안된 분석 방법론이 문제 해결에 적합하며, 일정 및 마일스톤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합니까?
3. 기대 효과 및 팀 구성 • 기획안에서 목표 달성 시 기대되는 결과물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었으며, 문제 해결과 목표 달성에 기여합니까? • 팀원의 역할 분담이 명확히 정의되었고, 프로젝트 진행에 적합합니까? | 6장 |
체크 리스트
<aside>
1p사업 개요 - 배경, 상황, 문제 정의, 목표 언급

2p상황 분석 - 시장
의류 소비는 감소하고 있지만 ‘편안함‘과 ‘스타일‘을 모두 충족하는 하이브리드 패션 수요 트렌드로 애슬레저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aside>
보완할 점
3p상황분석 - 경쟁사
경쟁사 액티브웨어 라인 확장 추세

시장 요약

<aside>
보완할 점
4p소비자 여정별 인식 차이 도식화
브랜드 입장
데이터를 통해 소비자 여정 상에서 어느 단계에서 인식 전환이 막히는지 보여주면 좋을 듯
→ 도식화: “어디서 메시지가 끊기는지” 한눈에 보임
→ 모핑 안다르가 가지고 있는 현재 문제점 도출 (고려 & 구매 단계)
https://www.instagram.com/reel/DFzgZ3OB0Gb/?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 → 모핑 이거 쓰면 좋을 것 가타요 👍🏻

5p⭐️ 그래서 왜 우리가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해야하는데? 에 대한 근거 자료 설명하는 페이지
소비자의 인식 차이(고려,구매 단계에서의 문제-일상복 키워드를 밀고있지만 고려는 운동복으로 함)가 왜 생겼을까?
→ 소비자에게 지금 안다르가 전달하고자 하는 USP가 설득력이 없기 때문 > 경쟁사 광고를 보면 > 차별점 없음 (경쟁사별 광고 소재 워드 클라우드)
경쟁사 대비 차별성 부족: 안다르의 “운동+보편적 일상” 메시지는 타 브랜드 메시지와 겹쳐 설득력 약화
<aside>
보완할 점
6p문제 정의 - 그래서 우리는 이런 문제에 처해있어서 이렇게 문제 정의를 했다
[현재 문제정의]
애슬레저 시장의 성장 속에서 안다르는 ‘운동복‘이라는 기존 이미지에 갇혀 있고, 차별적 브랜드 이미지가 부재하여 안다르의 독점적 위치가 약화되고, 경쟁 상황으로 인해 고객 유입이 분산되는 위기에 놓여 있다.
따라서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aside>
보완할 점
</aside>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