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좋은 데이터셋을 찾는 방법
데이터가 많아서 힘들었던 적은 없다!
절대적인 양이 많으면 좋다. 많이 무조건 많이!
커머스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수가 많은 것들이 좋다
데이터 속 종류가 많은 것! (구매자 데이터만 있는게 아니라, 사람, 판매량, 리뷰 데이터, 상품 그 자체에 대한 데이터의 다양성 굳)
검색 주제는 크게 크게! 특정 브랜드 검색은 큰 회사밖에 없고, 거의 없음.
커머스 서비스 스포츠 코스메틱 등 큰 단위 검색! </aside>
정민넴
유진넴
석민넴
리뷰 데이터 목표 : 텍스트 마이닝 / 평점 분석 → 키워드 추출하여 광고 소재 활용
<aside> 💡
경빈 튜터님 피드백 답변)
직무 선호도가 관건! 소비재 b2c 저관여 제품쪽으로 가고 싶으면 뷰티 무형의 서비스 산업을 판매하는 고관여 직군으로 가고 싶은지
전환에 있어서 뷰티 제품 같은 경우에는 소비재이기 때문에 구매 단가 cpa가 높지 않음. 교육은 단가가 높아서 초기 데이터 모으기가 쉽지 않음.
직무 선호도가 없다면 볼 수 있는 데이터가 많은지. + 광고를 돌릴 때 수집할 데이터가 많을지 고려. 광고 집행에 있어 kpi를 꼭 구매로 하지 않아도 됨. 트래픽, ctr도 가능. 디벨롭 방향, 과정이 중요. 성과는 지금 생각하지 않아요~ kpi 목표를 수립하는 게 중요. 달성 여부까지 고려하진 않아도 됨.
</aside>
프로젝트 주제
주제 선정 이유
주제 관련된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남겨주세요.
프로젝트 명 : 데이터 분석의 최종 목표와 분석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함축적으로 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