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주제]
이커머스를 위한 그로스 마케팅 전략 따라하기
[아티클 요약]
<aside> ❓
그로스 마케팅?
성장 + 해킹 : 고객의 반응에 따라 제품 및 서비스를 수정해 나가는 방식으로 시장이 원하는 제품, 고객이 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찾아가는 것
</aside>
☝🏻 AARRR 퍼널과 고객여정지도로 분석하는 그로스 마케팅
<aside> ❓
AARRR?
<aside>
획득(Acquisition)→활성화(Activation)→재구매(Retention)→매출(Revenue)→추천(Referral)
</aside>
<aside>
브랜드 발견(A) → 브랜드 탐색(A) → 구매 결정(R) → 구매 확정 및 재구매(R) → 추천(R)
</aside>
</aside>
퍼널에 따라 만나는 다양한 콘텐츠 예시

☝🏻 퍼널에 따른 콘텐츠 설계와 전환율 최적화
☝🏻 그로스 마케팅에 있어 ‘리뷰’가 수행하는 역할
<aside> ❓
리뷰
제품에 대한 고객의 명확한 피드백
다른 잠재소비자들이 구매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마케팅 콘텐츠의 기능 </aside>
브이리뷰로 동영상 리뷰 수집율 개선 → 반품률, 구매의사 전환율 측면에서 지표가 개선되었다는 평가
[발견한 인사이트]
기존 AARRR 프레임워크와 조금 다른 이커머스 AARRR 프레임워크
기존 AARRR만 알고 있었는데 좀 더 현실적인 이커머스의 AARRR프레임워크를 알 수 있었다. (마이 다르진 않지만….)
최저가 사이트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
읽다가 내가 브랜드를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자사 사이트에서 할인 쿠폰을 적용해 가장 저렴하게 판매하도록 하여 소비자들이 유통 플랫폼이 아닌 자사 사이트로 들어와 제품을 구매하게 하도록 하지 않을까? 이것도 하나의 마케팅 전략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되면 데이터를 직접 구할 수 있으니 전환율이나 매출 등 다양한 인사이트들을 도출해 낼 수 있으니!
사후 관리 “고객이 받고 싶은 서비스는 뭘까?”
가끔 제품 구매 후에 감성을 자극하는 사후 관리들이 있는 것 같다. 예시에 있던 것처럼 “*누군가의 아이, 사촌 혹은 조카, 랜선 조카들까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실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라는 말은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단기간으로 구축하는 데 효과적인 방식인 것 같다.
지속적인 가설 검증의 중요성
이 커리에서 지속적으로 심어주고 있는 마인드라고 생각한다.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가설을 세워서 현실 가능한 건지, 관계는 있는지, 왜 이렇게 되어야 하는지를 계속 고민해 보는 게 마케터의 역할인 것 같다.
</aside>
<aside> 📚
[주제]
이커머스를 위한 그로스 마케팅 전략 따라하기
[아티클 요약]
‘성장(Growth)’과 ‘해킹(Hacking)’의 결합된 개념으로,
그로스 해킹에서 비롯된 마케팅 방식입니다.
Openads 기준, 실제 이커머스에서는 AARRR 퍼널을 아래처럼 고객 여정 중심으로 재정의합니다:
[발견한 인사이트]
<aside> 📚
</aside>
<aside> 📚
</aside>
<aside> 📚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