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드백 정리
문길래 튜터님
- 강점 요소
- 체계적인 문제 정의 및 WBS 구성 : 전체 분석 흐름(WBS)을 명확히 설정하고 분석 영역을 디바이스, 연령대, 구독 유형, 시간대, 검색/추천 유입으로 나눠 구조화함.
- 가설 기반 다각도 분석
- 각 섹션마다 가설 → 시각화 → 인사이트 도출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논리 흐름이 매우 분명함.
- 디바이스 UX, 연령대 특성, 요일별 패턴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 시도.
- 통계 기반 접근
- 이탈 구간 설정에 중앙값, 사분위수, 히스토그램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 기준을 제시.
- 정규분포와 비교하는 시도는 분석 신뢰도를 높이는 시도임.
- 사용자 유형별 맞춤 솔루션 제시
- 모바일, 태블릿, E-Reader 각각에 대한 UX 개선안 제시
Free Trial, Monthly, Pay per book 플랜별 이탈 특성과 대응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
- 콘텐츠/추천 개선 아이디어 구체화
- 보완이 필요한 점
- 슬라이드 정보량 과다 → 가독성 저하
- 개별 슬라이드마다 텍스트가 너무 많아 시각적으로 부담됨. 핵심 요약 필요.
- 각 인사이트/결론을 1~2문장 요약 문구로 정리하면 발표용/보고서용으로도 활용도 상승.
- 분석 결과의 우선순위 제시 부족
-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가장 핵심적인 문제 2~3개가 무엇인지, 해결 우선순위는 어떤 기준으로 제시되는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함.
- 추천 개선 전략의 실행 가능성 부족
- 추천 알고리즘 개선, 행동 기록 보완 등 좋은 방향이지만,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 UX 개선 또는 데이터 수집 로직이 부족함.
- 일부 가설 해석 부족
- 예: "10대가 UX 불편 이탈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는 관찰에 대해, 그 원인을 설명하거나 전략적으로 해석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