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Task : 사전 질문

</aside>

  1. 이탈 구간을 다음과 같이 나눈 근거는 무엇인가요?(6페이지)

<aside>

  1. Chapter 2.타겟 & 목표 설명의 Step 3 이탈 구간 분석에서 15~40%와 40~65%로 나눠 놓으시고 다시 두 그룹을 묶어서 분석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

<aside>

  1. 핵심 이탈 구간을 15~65%로 잡고, 이들의 평균 이탈을 65% 높인다고 하셨는데, 2구간은 평균으로 높이고, 3구간은 완독으로 높이는 것, 두 구간으로 나누는 것이 목표에 더 적합할 거 같은데, 구간을 합친 이유가 궁금합니다

<aside>

  1. 강점은 전제 조건 활용 질문은 6,10P 2-3구간 사용자들을 완독 구간 까지 올리지 않고, 4구간 진입에서 멈춘 이유와 4구간 진입의 효과 및 효율성 등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aside>

  1. 15~65를 구간 이탈 비중으로 잡았는데 그냥 범위를 넓게 잡아서 많아 보이는 거 아닌지? 50%잡고 50%인데 유의미하지 않은 것 같아서... 다른 정량적 근거가 있는지?

<aside>

정량적 근거는 없지만, 실제 사용자 행동 경험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합의 가능한 구간을 설정하였다.

예를 들어, 300쪽 분량의 책을 기준으로 15% 미만, 0~45page에서 이탈한 독자들은 일반적으로 도입부나 1~2개의 챕터 정도만 읽고 책을 더 이상 전진시키지 않은 독자들로 이 구간의 이탈은 책의 초반 구성이나 주제에 접근하지 못한 독자들로서 초기 이탈자로 분류해 볼 수 있다.

90% 지점은 약 270쪽 이후, 마지막 1~2개 챕터까지 독서를 마친 독자들이다. 책의 거의 모든 흐름과 전개를 끝까지 따라간 독자들로, 명확히 ‘완독’으로 분류하여도 무방하다고 생각한다.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