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Task


  1. eReader 사용자가 초반(5% 이내)에서 이탈한 경우, 기기 성능 또는 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콘텐츠 이용을 포기했을 가능성이 있다.

2.50대 이상 고연령층의 이탈률이 높은 것은 가독성이나 인터페이스 불편 등 연령 특화 UX 부족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1. 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4.기기 화면 설정에서 custom으로 설정한 사람은 ux불편의 이유로 이탈할 비율이 적을 것이다.

</aside>

<aside> 📌 실행 및 진행 사항 정리


이녕으

선정 가설 : 3번 
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
# 1. UX 불편으로 이탈한 사람만 모아!
dropout_ux = merged[
    (merged['exit_position_numeric'] < 75) &
    (merged['dropout_reason_category'] == 'UX 불편')
]

# 2. UX 불편 이탈자 수를 디바이스별로 세기!
ux_dropout_count = dropout_ux.groupby('device_type')['user_id'].nunique()

# 3. 전체 사용자 수도 디바이스별로 세기!
total_users_device = merged.groupby('device_type')['user_id'].nunique()

# 4. 비율 계산하고 데이터프레임으로 만들기!
ux_by_device = pd.DataFrame({
    'device_type': ux_dropout_count.index,
    'UX 불편 이탈률(%)': (ux_dropout_count / total_users_device * 100).round(2).values
})

print(ux_by_device)

#시각화
plt.figure(figsize=(10,6))
sns.barplot(x='device_type', y='UX 불편 이탈률(%)', data=ux_by_device, palette='coolwarm')
plt.title('기기별 UX 불편 이탈률', fontsize=16)
plt.ylabel('이탈률 (%)')
plt.xlabel('기기 종류')
plt.show()
 

</aside>

<aside> 📌 결과


#3번
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device_type  UX 불편 이탈률(%)
0     eReader         19.23
1      mobile         24.74
2      tablet         22.15

📌 시각화


3.사용 기기에 따라 UX 불편으로 인한 이탈률의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image.png


image.png


image.png

image.png



📌튜터님이 피드백해주신 초반이탈률 관련


image.png


image.png

</a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