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

물리학을 전공한 후 정치외교학과 석사를 마쳤고, 내년 박사 과정을 준비하고 있어요. 본격적인 연구자 생활을 하기 전에 올해는 좀 더 해보고 싶은 일에 도전해 보자는 생각이 들어 공부 외에 과학 관련 글쓰기나 페임랩 준비 같은 활동도 병행하고 있어요.

페임랩이 뭐예요?

과학 기술 관련 전공자나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 최신 기술 등을 3분동안 발표하는 대회요. 대중들에게 낯선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자는 취지로 매년 열리고 있죠.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되려는 건 아니지만, 전공자로서 평소에 가지고 있던 생각을 나만의 언어로 말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해요. 사실 파이퍼에서 글을 쓰는 것도 같은 맥락이고요.

이과에서 문과로 전과를 건데, 공부하면서 힘든 점이 있었나요?

학부 2~3학년쯤부터 했던 고민인데요, 물리학을 공부하면 할수록 내가 배우는 과학이 현실과 조금 동떨어졌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학문적으로 다루는 너무 깊고 심오한 세상이 내가 사는 현실과 잘 연결이 안 됐거든요. 물리학적 이론을 연구해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게 꿈이었는데, 그 길이 잘 안 보였던 것 같아요.

그런데 왜 굳이 정치외교학을 선택해 공부하게 됐나요?

처음 물리학에 끌렸던 건 이과적 시각이나 공식으로 여러 문제들을 증명하고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었어요. 고등학생 때는 미국 물리학자 브라이언 그린이 쓴 《엘러건트 유니버스》를 읽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을 거란 상상도 한 적 있고요. 그런데 언제부터인지 새로운 문제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더라고요. 기후 변화나 고령화 같은 사회적 문제들요. 제가 공부하고 이해한 물리학은 세상의 모든 걸 ‘힘’으로 설명해요. 특정 힘에 도달하면, 법칙에 따라 어떤 결과가 일어나죠. 그런데 이런 새로운 문제들은 물리학으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겠더라고요. 다른 분야에서 이야기하는 ‘힘’은 무엇이 있나 찾던 중에 정치외교 분야가 눈에 띄었어요. 권력이라는 새로운 힘을 이해한다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정확히 읽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싶었고요.

자연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모두를 공부한 셈이네요. 전과를 하고 어려운 점은 없었나요?

문과와 이과는 사고 방식 자체가 달라 힘들었어요. 그 전까지 저는 수식을 가지고 공부한 사람인데 역사적 내용이나 정치, 철학 용어에 익숙해지는 데만 해도 오랜 시간이 필요하더라고요. 글쓰기도 너무 낯설었고요. 그래서인지 다른 분들에 비해 석사 과정을 조금 길게 했네요. (웃음)

그런데도 정치외교 박사 과정까지 준비하고 있는 보면 어떤 목표 같은 게 생긴 건가요?

네. 최근 서구 선진국에서는 과학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다시 높아지고 있고, 관련 어젠다들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어요. 지난 5월 새 정부의 첫 한미정상회담 당시 바이든 대통령의 첫 공식 일정이 평택 삼성 반도체 공장에서 시작되기도 했었죠. 정치외교는 외교나 국방 전략 등을 구상하는 분야인데, 우리나라는 이러한 기술적인 부분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응해야 하는지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지 않는 것 같아요. 박사 과정 이후엔 그런 측면에서 기여하는 일을 하고 싶어요.

결국 앞으로도 과학 분야는 손에서 놓지 못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