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달 PS문제는 고등학교 정보 3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진탐색’ 알고리즘입니다.
컴퓨터 과학에서 정렬과 탐색은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알고리즘입니다. 컴퓨터는 한정된 자원인 시간과 메모리 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정렬과 탐색은 알고리즘의 효율성을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 고등학생들도 이해하기 쉬운 예시로 활용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탐색과 관련된 아래 나무 자르기 문제를 풀어보고 수업에 꼭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 문제 출처 :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 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 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 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가며 한 줄에 연속해 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 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 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4 7
20 15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