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투자 금융은 실물자산에 자금을 조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물자산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요구됨
<aside> <img src="/icons/list_lightgray.svg" alt="/icons/list_lightgray.svg" width="40px" />
(대체투자 금융에서 바라보는) 자산 분석 관점:
자산에 따라 기간 중 이익만, 또는 차익만 기대할 수도 있음
</aside>
자산 분석은 자산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느끼는 장점을 중심으로 이뤄짐
투자설명서는 자산분석 내용이 자세하게 서술되어 리서치에 용이
자산 분석은 사용자가 느끼는 장점을 기준으로 비슷한 목차로 진행되기 때문에 기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aside> <img src="/icons/list_lightgray.svg" alt="/icons/list_lightgray.svg" width="40px" />
자산 분석 목차 구성:
자산 개요 페이지 다음에 위치
자산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로 지속적으로 현금흐름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설명하는 목적을 달성해야 함
이를 위해 (여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 자산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장점을 중심으로 설명됨
예시) 사용자가 느끼는 장점: 오피스
구분 | 내용 | 포함하는 이유 |
---|---|---|
물리적 스펙 | 층수, 면적(전체, 층별), | |
층고 등 | - 높은 층고 → 쾌적한 환경으로 임차인들의 선호 |
경험하기: 직접 경험해보거나 경험한 사람들의 인터뷰를 통해 간접 경험을 할 수 있음
학습하기: 투자설명서, 투자제안서 등 여러 자료의 분석방법을 학습
비즈니스모델 관점으로 생각하기: 매출과 비용이 어떻게 발생하는 것인지 이해하기
자산 | 매출 | 비용 |
---|---|---|
오피스 | 임대료, 관리비 | PM수수료, FM수수료, 수도광열비 등 |
재생에너지 발전소 | 발전 매출, REC 매출 | O&M 비용 |
지하철 | 이용료 | 철도 구매비용, 인건비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