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진행하는 민간투자사업에서 300억 이상 국비가 투입될 경우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고, 해당 조사 결과를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라는 이름으로 공개하고 있습니다.
예비타당성조사 소개 자료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예비타당성조사 소개 웹페이지 (KDI 공공투자관리센터)
자산에 대한 내용과 투자 관점에서 필요한 수요 예측, 비용 산정 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해당 사업의 배경 지식이 없는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자산군이 넓은 인프라 섹터에서 빠르게 자산을 배우고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을 익히기에 좋은 자료입니다.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찾기
KDI 한국개발연구원 > 예비타당성조사보고서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는 중요 내용을 단순히 요약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효과가 있으므로, 도로, 항만, 지하철 등 다양한 자산을 읽고 요약하여 보고서를 활용하세요.
요약할 때는 아래의 구성으로 분류하여 관점을 나눠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① 사업에 대한 이해
② 수요 예측 및 사업비 구성
③ 주요 쟁점사항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는 해당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투자설명서에서 읽었던 ‘자산분석’ 사항을 요약할 수 있으며, ‘투자개요’ 페이지까지 반드시 따로 요약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TIP!
TIP! 관련 내용을 보다보면 공학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영역이 많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내용 이해보다 목차 중심으로 파악하며 투자할 때 이런 것까지 확인해야 하는구나 정도만 알고 넘어가는 것을 추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