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젝트 파이낸싱(프로젝트 금융, Project Financing)이란?


2. 프로젝트 금융의 성격


3. 기업 금융(CF)과 프로젝트 금융(PF) 비교


구분 기업 금융 (Coporate Financing) 프로젝트 금융(Project Financing)
차주 회사 특수목적법인(SPC)
상환재원 1️⃣ 차주(모기업)의 신용
2️⃣ 차주(모기업)가 제공하는 담보
1️⃣ 특수목접법인의 프로젝트 자산
2️⃣ 프로젝트 자체의 수익성 및 기대 현금흐름(Cash Flow)
채권 보전 1️⃣ 사업주체 자산에 대한 전면적 소구권 행사
2️⃣ 연대보증인에 대한 소구권 실행 1️⃣ 프로젝트 자산에 대한 담보권 실행
2️⃣ 프로젝트 참여자 제공 보증 및 담보에 대한 소구권 실행
자금조달 규모 재무지급 능력 및 기업의 부채비율에 따라 제한 대주단 형성 및 소구권 제한 ▶️ 대규모 자금조달 가능 구조
차입비용 사업주의 신용도에 따른 차등금리가 적용됨 기업금융에 비해 높음 (금리+Fee)
자금관리 사업주 명의 자금관리, 차주 임의 관리 투자비 및 운영비 지출 등 전 분야에 대하여 대주단의 위탁자에 의해 관리 → Escrow Account(에스크로계좌)
사업성 검토 담보위주의 대출 수익발생 근거의 객관적 검증 및 시나리오별 검토
대상 사업 분야
별도의 제한이 없음 SOC 사업, 부동산 개발사업 위주
장점 1️⃣ 자금조달 구조 단순해 비용 절감 가능
2️⃣ 신속한 의사결정 가능 1️⃣ 차입 기간이 상대적으로 장기적
2️⃣ 사업주체의 채무비율 완화 가능
3️⃣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에 적합
4️⃣ 사업 부실시 사업주체의 책임 제한
단점 1️⃣ 차입 기간이 상대적으로 단기적
2️⃣ 사업주체의 채무비율 증가 (추가 차입 제약)
3️⃣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에 불리함
1️⃣ 복잡한 사업구조로 인한 비용이 증가
2️⃣ 특수목접법인의 주주 구성 특성이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 가능성
출처: 김정주 외(2021). 건설금융 실태점검과 개선방안 도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 차주: 빌려오는 사람 (투자 받는 자)
  2. 상환재원: 차입금 상환 (갚을 돈)
  3. 채권 보전